유엔서 ‘위안부’ 對日 공세 고삐

입력 2012-10-02 21:29

정부가 유엔 총회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대(對)일본 공세’를 보다 강화키로 했다.

정부는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유엔 총회 기조연설에서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이 사상 처음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거론한 데 이어 8일부터 열리는 유엔 총회 산하 제3위원회에서는 ‘일본’과 ‘위안부’란 단어를 직접 언급할 방침이다.

제3위원회는 보편적 인권 및 여성 문제를 다루는 장으로 정부는 매년 강한 어조로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의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해 왔다. 정부 당국자는 2일 “지난해에도 제3위원회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직접 거론했지만 이번에는 더욱 강한 어조로 국제사회에서 무책임한 일본을 비판할 예정”이라며 “유엔 총회에서 위안부 문제가 한·일 간의 정치적 문제가 아닌 보편적 인권 문제라는 공감대도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제3위원회에서 위안부 문제 해결책으로 일본 정부의 진정한 사과 및 법적 책임 인정, 피해자 배상을 제시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후에도 여성인권을 주제로 한 토의나 인권이사회 등 다양한 세션을 통해서도 위안부 문제를 반복 제기할 방침이다.

지난해 신동익 주유엔대표부 차석대사는 제3위원회 여성 지위향상 토론회에서 “위안부 문제는 반인도적 범죄에 해당하는 사안으로서 한·일 청구권 협정에 의해 해결된 것으로 볼 수 없으며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이 남아 있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독도 홍보의 일환으로 1950년대 우리 정부의 독도 영유권 수호 노력을 기록한 ‘독도문제개론’을 57년 만에 재발간했다. 외교통상부의 전신인 외무부 정무국이 55년 펴낸 이 책자는 독도에 대한 옛 기록과 일제의 독도 강탈 과정, 해방 이후 독도 지위 등이 서술돼 있다.

특히 52∼54년 일본 선박의 독도 침범으로 벌어진 일본과의 ‘각서 외교전’이 상세히 기술돼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당시 현장 경험이 생생히 살아있어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독도 주권 수호 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