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붐 세대, 노후준비 양극화… 부담금 10배 차이
입력 2012-09-26 18:56
연금 가입률·노후 인식 실태조사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 준비가 소득에 따라 큰 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노후준비를 위해 쓰는 금액은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간 10배 가까이 차이가 벌어졌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009∼2011년 약 1만 가구를 대상으로 ‘국민연금·사적연금 가입률 및 노후준비 인식 등 실태조사’를 한 결과 베이비붐 세대의 81%가 노후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26일 밝혔다.
하지만 같은 베이비붐 세대라도 소득에 따라 노후준비 여부나 준비 기간 등에 차이가 났다. 가구주의 소득이 전국 하위 20%(1분위)에 해당하는 세대는 절반 정도(55.8%)만 노후준비를 하고 있었다. 가구주의 소득이 전국 상위 20%에 해당하는 경우(5분위)의 높은 노후준비 비율(98.7%)과 대비되는 모습이다.
소득이 높을수록 노후준비 기간도 길었다. 소득 5분위에 해당하는 세대 가구주는 평균 19.65년 동안 노후를 준비해 왔다고 답했다. 1분위의 노후준비 기간은 이에 절반도 못 미치는 8.36년이었다.
월평균 노후준비 부담금에서는 차이가 더 커진다. 소득 1분위가 한 달 동안 노후 준비를 위해 쓰는 비용은 평균 5만3600원이었다. 5분위는 평균 49만1200원으로 조사됐다. 5분위가 1분위보다 노후준비를 위해 9.3배 더 많은 돈을 쓰고 있는 것이다.
소득 계층에 따른 노후 준비 부담금 차이는 베이비붐 세대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베이비붐 이전 세대’(1954년 이전 출생집단)의 월 평균 노후준비 부담금액은 5분위(13만2900원)가 1분위(6만1200원)보다 배가량 많았다. ‘베이비붐 이후 세대’(1964년 이후 출생집단)의 경우 5분위(23만500원)가 1분위(6만5600원)보다 3.5배 정도 많았다.
30∼60대 모든 세대가 가장 중요한 노후준비 수단으로 ‘국민연금’을 꼽았다. 지난해 국민연금 가입자는 조사 대상자의 91.8%에 이르렀다. 하지만 이 가운데 20.4%는 ‘소득활동 중단’ 등의 이유로 현재 국민연금 보험료를 내지 않고 있었다.
조사대상 가구주들은 국민연금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신뢰도는 낮았다. 응답자의 54.9%가 ‘국민연금을 진짜로 받을 수 있는 것인지 확신을 심어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물가상승률에 따라 연금 수령액도 오르는 것에 대한 확신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월평균 적정 노후생활비는 가구주 1인당 179만6000원, 최소 노후생활비는 111만6000원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같은 해 국민연금을 받게 된 가구주의 월평균 연금액은 약 61만6000원이었다. 국민연금 수령액이 너무 적다는 지적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국민연금으로는 노후 준비가 충분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렇다보니 가구주들은 퇴직연금이나 개인연금으로 보완하기를 바랐다. 하지만 지난해 기준 퇴직연금 가입률은 8.3%, 개인연금 가입률은 31.3%에 불과했다. 주택연금은 노후대책 수단으로는 다소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가치 평가를 제대로 받지 못할 것으로 보거나 보유한 주택이 없어 주택연금을 이용하지 않겠다는 응답이 60%에 이르렀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