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회·자치구의회 의정비 인상 추진 논란

입력 2012-09-25 19:20

광주시의회와 5개 자치구의회가 의정비 인상을 추진해 논란을 빚고 있다.

광주시의회는 24일 열린 운영위원회에서 위원 8명 중 7명의 찬성으로 내년도 의정비 인상을 잠정 결정했다고 25일 밝혔다. 운영위는 이날 구체적인 인상폭은 결정하지 않았다. 시의회는 지난해에도 의정비를 2.2% 인상했다.

광주시의회는 현재 의정비가 전국 6개 광역시 가운데 가장 적어 현실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실제 서울 6100만원, 인천 5951만원, 부산 5728만원, 울산 5538만원, 대구 5400만원인데 비해 광주시의회는 4960만원에 불과하다.

시의회 조오섭 운영위원장은 “유급보좌관제가 도입되지 않아 대부분 의원들이 사설보좌관 인건비 부담을 떠안고 있다”며 “물가상승폭과 다른 광역의회 의정비 수준을 감안할 때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말했다.

시의원들은 “한달 의정비 380만원 중 보좌관 월급 150여만 원을 떼면 230만원 정도를 받는다”고 밝혔다. 광주지역 5개 기초의회도 의정비 인상에 동참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동구 9.1%, 서구 8.8%, 광산구 5.8% 등의 인상 방안을 논의 중이다. 그러나 ’혈세’가 지출되는 의정비 인상은 장기간 경기침체와 태풍 피해, 물가상승 등 3중고에 시달리는 서민들의 어려움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광주시의원와 구의원의 의정비는 의정비심의위원회와 주민의견 설문조사 등을 거쳐 다음달 말까지 결정될 예정이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고통분담에 앞장서야 할 지방의회가 해마다 의정비를 꼬박꼬박 인상하려는 것은 납득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