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전쟁] ‘투표율 상승’ 유·불리 주판알 튕기기… 여야, 투표시간 연장 신경전
입력 2012-09-25 19:04
여야가 올해 대통령 선거 투표시간을 오후 6시에서 2시간 연장하는 방안을 놓고 치열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야당은 국민의 참정권 확대를 위해 연장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지만, 여당은 예산과 인력 소요 등 현실적인 문제를 들어 반대하고 있다. 하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투표시간 연장으로 인한 투표율 상승이 가져올 유불리에 대한 계산이 깔려 있다.
투표시간 연장 법안을 대표 발의한 민주통합당 진선미 의원은 25일 국회 브리핑에서 “투표시간 연장을 위해 여론조사가 필요하다면 9월 말에서 10월 초까지 당장 실시해 그 결과에 따라 대선 전에 법을 개정하자”고 새누리당에 제안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새누리당 간사인 고희선 의원이 전날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투표시간 연장을) 급하게 하지 말고 정개특위로 넘겨 여론조사를 해보고 투표시간 연장을 결정해야 한다”고 말한 데 대한 답변이다.
여야는 지난 18일 국회 행안위 법안심사소위에서 투표시간 연장 합의가 무산된 책임을 놓고도 공방을 벌였다. 민주당 우원식 원내대변인은 “새누리당 의원들이 투표 마감시간 연장 법안을 반대해 무산됐다. 너무나 정략적이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고 의원은 “당시 분위기는 2시간 연장에 대해 합의 자체가 나올 수 없었다”고 해명했다. 그러자 민주당 임수경 의원은 “당시 회의록을 보면 고 의원은 세 차례에 걸쳐 투표시간 연장 합의 사실을 공표하고 의결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며 “그러나 돌연 ‘양해를 구하겠다’며 합의 내용을 뒤집었다”고 반박했다.
선거 전문가들은 대선 투표율이 70%를 넘으면 현 야권 후보가 유리하고, 70%에 못 미치면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유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2002년 투표율은 71%였으나 2007년 대선은 65%에 그쳤다. 무소속 안철수 후보가 4·11 총선 직전 ‘안철수의 투표 약속’이라는 유튜브 동영상에서 ‘투표율이 70%를 넘으면 춤추며 노래를 부르겠다’고 한 것도 자신이 대선에 나설 경우 유리한 투표율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