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영유권 분쟁 이어도로 확전

입력 2012-09-24 19:04


중국이 제주도 서남쪽에 위치한 이어도(중국명 쑤옌자오·蘇岩礁)에 대해 무인기로 상시적인 감시 체제를 구축하겠다고 나서서 한국과의 마찰이 불가피하게 됐다.

중국 국가해양국 해역관리사 사장(국장) 위칭쑹(于靑松)은 23일 장쑤(江蘇)성 롄윈강(連雲港)에서 국가해양국이 개최한 회의에 참석, “오는 2015년까지로 돼 있는 12차 5개년 계획 기간에 동부 연안 각 성에 무인기에 의한 원격감시 체제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고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報)가 24일 보도했다.

위칭쑹은 이를 통해 “이어도를 비롯해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황옌다오, 시사·중사·난사군도 등 중국 관할 해역 전체에 대해 무인기 감시 시스템을 마련하겠다”면서 “바다에서의 무인기 활용도를 전면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중국 당국이 무인기 감시 시스템 구축 대상에 이어도를 분명히 밝힘으로써 앞으로 이어도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강화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국가해양국은 이날 장쑤성 롄윈강 연안 해역에 무인기 감시 체제가 완성됐다고 공식 확인했다. 이와 함께 그동안 실시한 무인기에 대한 성능 검사도 통과시켰다. 국가해양국은 무인기가 기동성이 뛰어난 데다 비용이 적게 들 뿐만 아니라 효율적이라는 특징이 있어 원격감시 수단으로는 적격이라고 소개했다.

중국은 수년 전부터 해양감시선(해감선) 정기순찰 해역에 이어도를 포함시키겠다고 강조해 왔으며 실제로 최근 몇 차례 이어도 해역에 해감선을 보내기도 했다. 우리나라는 1951년 이어도를 한국 영토로 확인했으나 2006년 “이곳은 수중 암초로 섬이 아닌 만큼 영토분쟁 대상이 아니다”고 중국 측과 합의한 뒤 상호 논란을 빚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부산 해양경찰서 전용 부두에서 열린 제59회 해양경찰의 날 기념식 축사에서 “정부는 최근 독도와 이어도를 향한 경비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북한의 해상도발 위협이 계속되는 가운데 최근 동북아 해역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어 한시도 긴장을 늦출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중국 해감선과 어업감시선 4척이 6일 만에 다시 센카쿠 영해에 진입했다고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인민해방군 기관지 해방군보(解放軍報)는 이날 “일본이 회개하지 않으면 쓴 결과를 맞게 될 것이라는 점을 정식으로 경고한다”고 밝혔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wkc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