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인플레’ 논쟁… 전문가 “美·유로존·日 양적완화 물가급등 압박”
입력 2012-09-23 18:43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과 미국, 일본이 침체된 경제를 되살리기 위해 잇따라 대규모 통화 공급 대책을 내놓으면서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핌코의 유명 투자분석가인 모하메드 엘 에리안 대표는 22일(현지시간) 언론 인터뷰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사실상 인플레이션을 의도적으로 조장하고 있다”며 “연준뿐 아니라 유럽중앙은행(ECB)과 일본은행 등 글로벌 주요 중앙은행 모두 비전통적이고 실험적인 상황에 너무 깊이 빠져들었다”고 지적했다.
ECB 수석 이코노미스트를 지낸 위르겐 슈타르크도 22일 오스트리아 일간지 ‘디 프레세’와의 인터뷰에서 “ECB와 미국 등의 중앙은행이 시장에 유동성을 넘치게 공급한 결과 세계경제가 다시 안정되면 과잉 유동성으로 엄청난 물가상승 압박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미 경제전문지 포브스 역시 21일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의 가장 큰 두려움은 물가가 급등하는 것”이라며 “물가를 잡으려면 이자율을 올려야 하지만 그럴 경우 연준의 또 다른 의무인 실업률 낮추기에 악영향을 준다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들은 물가상승 우려보다 경기부양 대책에 더 골몰하고 있다. 영국 중앙은행은 20일 공개한 통화정책위원회 회의록에서 “물가는 중단기적으로 2%의 상승률이라는 균형이 예상된다”며 “추가적인 경기부양 대책은 언제든지 검토 가능하다”고 밝혔다. 인플레이션 우려보다 통화 공급에 더 무게를 둔 것이다. 멕시코·캐나다 중앙은행도 인플레이션 우려는 크지 않다는 입장을 잇따라 밝혔다.
인플레이션 논쟁은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매킨지는 최근 보고서에서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과 저성장이 겹치는 스태그플레이션이 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10년 전 10억명이던 지구촌 중산층 숫자가 현재 16억명, 향후 20년간 46억명으로 증가하면서 식량·공산품·에너지 수요가 폭발하는 반면 경제 성장의 혜택은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매킨지는 “글로벌 중산층의 수요 증가는 물가상승과 저성장이라는 2중의 부담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지방 기자 fatty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