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교단 총회로 본 2013년도 ‘한국교회 기상도’

입력 2012-09-23 20:35


한국 교회의 주요 교단 정기총회가 막을 내렸다. 교단 내부 개혁부터 교회 연합·일치운동에 이르기까지 이번 총회에서 다뤄진 주요 현안을 통해 향후 교계의 활동방향을 내다봤다.

◇교회 일치·연합 활동 ‘흐림’=교계 연합기구인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와 한국교회연합(한교연)의 힘겨루기가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 장로교단들이 이번 총회를 통해 이들 연합기구에 대한 입장을 정리했기 때문이다. 총회를 치른 10개 주요 교단 중 8개 교단이 한기총에서 탈퇴(예장통합·합신)하거나 행정보류(유지)를 결정했다. 또 10개 교단 중 한교연 가입 교단은 4곳, 가입 유보(교류는 유지)를 결정한 곳은 예장 고신 및 합신 등 2곳으로 파악됐다. 한교연은 24일 기자회견을 열어 정확한 회원교단 가입 현황을 비롯한 향후 활동계획을 발표한다.

한기총과 한교연 사이에서는 각각 양대 가입 교단인 예장합동과 예장통합을 주축으로 교계 주도권 싸움이 예상된다. 당장 내년에 예정된 WCC(세계교회협의회) 부산 총회를 둘러싼 개최 찬반 및 신학적 논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부활절 연합예배, 8·15 광복절 연합예배 등의 성사 여부도 미지수다.

‘찬송가 재발행’ 문제도 타협점을 찾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양대 핵심 교단인 예장합동이 새로운 찬송가 보급 문제와 관련, 안건을 폐기한 데 이어 예장통합도 1년 더 연구하겠다고 결정을 유보한 것. 이와 함께 예장통합이 예장합동 출신의 한기총 전·현직 대표회장을 ‘이단 옹호자’로 규정하면서 이단 논쟁도 불거질 조짐이다.

◇반기독교·이단 세력 대응 ‘맑음’=외부 세력의 공격으로부터 ‘교회를 지키자’는 교계 활동은 속도를 낼 전망이다. 이번 총회에서 종교자유정책연구원(종자연) 등 반기독교 세력과 신천지 등 이단 집단에 대한 교단들의 대응은 일사불란함을 보였다. 예장합동은 불교 단체인 종자연에 의뢰한 국가인권위 연구용역을 즉각 취소해야 한다는 내용 등을 담은 ‘종자연에 대한 교단 결의문’을 만장일치로 채택하고 대책위를 꾸렸다. 예장 고신도 종자연에 대한 한국 교회의 공동대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 밖에 예장통합은 단군상대책위원회의 활동을 1년 더 할 수 있도록 조직을 유지했고, 주요 교단들은 대표적인 이단인 신천지 집단에 대한 경계활동을 확대키로 했다.

◇교단 자정·선진화 활동 ‘흐린 뒤 맑음’=교계 안팎의 관심을 불러온 선거법 개정과 여성참여 확대 등 교단 선진화 시도는 ‘절반의 성공’으로 평가되고 있다. 교단총회공동대책위 관계자는 “매년 조금씩 개선되고 있다는 데 의미를 찾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표적으로 예장통합의 경우 벌칙 조항이 한층 강화된 임원선거조례 및 시행세칙이 알맹이가 빠진 채 통과됐다. 핵심 개정안이었던 선거법 위반 시 재적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 과반수의 의결로 입후보자의 등록을 취소토록 하는 내용은 통과되지 못했다. 금품 제공자에게 50배의 범칙금을 부과하고, 향후 5년간 총대 자격을 정지토록 하는 제도 도입 역시 총대들의 반발로 무산됐다. 반면 부총회장 후보들이 공개적으로 정견을 발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은 통과됐다. 기장 총회에서는 뜨거운 관심을 모았던 총무 직선제는 기각됐다. 총무 직선제가 장로와 목사를 대표하는 장로회의 대의 정치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여론을 넘지 못했다.

박재찬 백상현 천지우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