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3인 전쟁 시작] ‘경제멘토’ 公約 대결… “최대 문제는 양극화 해소” 공감속 해법은 달라
입력 2012-09-20 21:48
경제민주화가 올 대선 최대 이슈로 떠오른 상황에서 후보들의 정책을 뒷받침할 ‘경제멘토’ 간 대결도 치열해질 전망이다.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측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과 무소속 안철수 후보 측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의 정책 대결이 부각되고 있다.
이 전 부총리는 1998년 금융감독위원장에 임명돼 은행 퇴출과 강도 높은 5대 재벌 구조조정을 진두지휘했다. 이로 인해 위기에 강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최근 발간한 저서 ‘경제는 정치다’와 언론인터뷰 등에서는 ‘중산층 강화’를 강조해 왔다. 또 “경제 양극화가 심화될 경우 독일의 나치와 같은 극단적 정치세력이 등장할 수 있다”며 “40∼50대가 사회 중심 세력으로 부각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양극화 문제 인식은 청와대 경제수석을 지낸 김 위원장과 궤를 같이한다. 김 위원장은 “대한민국 사회가 갑자기 1%대 99%의 양극화로 이동했다는 데 동의하는 사람이 80%가 넘는다”며 “양극화 해소를 대선 공약 개발의 근간으로 삼아야 한다”는 입장을 취해 왔다.
양극화 해소와 공정한 시장의 필요성에는 두 사람 모두 동의하지만 이 전 부총리의 경우 시장에 좀 더 무게를 둔다. 이 때문에 노무현 정부 시절 개혁세력과 충돌하기도 했다. 안 후보가 대선 출마 회견에서 경제민주화·복지와 함께 성장을 강조한 것도 이 전 부총리의 이런 입장과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 전 부총리는 모피아(MOFIA·재무 관료와 마피아의 합성어)의 거두라는 한계를 지적받기도 한다. 김상조 경제개혁연대 소장은 20일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안 후보가) 이 전 부총리 같은 모피아에 의존하는 순간 실패의 길로 들어설 것”이라며 “이헌재식 관치 경제는 원칙에 어긋나고 심지어 법을 위반하는 경우도 많았다”고 비판했다.
이에 비해 김 위원장은 재벌 규제 및 정부 역할을 상대적으로 더 강조한다. 하지만 경제민주화를 둘러싼 당내 노선 차이가 현존하는 상황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얼마나 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김 소장은 언론 인터뷰에서 “김 위원장이 결국 토사구팽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