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일 갈등 고조] 강공 드라이브 中 vs 화전 양면전략 日
입력 2012-09-19 19:15
만주사변 81주년에 최고로 고조됐던 중국의 반일시위가 19일에는 크게 누그러졌다. 그러나 센카쿠 열도를 둘러싼 중국과 일본 정부의 대치국면은 갈수록 험악해지고 있다.
◇강공책으로 일관하는 중국=중국은 단단히 벼르고 있었다는 듯 강공 일변도다. 쉬차이허우(徐才厚)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은 센카쿠 사태와 관련해 지난 14일 “군부대는 전투 준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쉬 부주석은 산시성의 군부대를 방문해 “군은 당과 인민이 원할 때 언제든지 주권과 안보, 영토보전을 수호하는 의무를 단호하게 이행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 국채시장에 대한 공격을 시사하는 주장도 나왔다. 중국 상무부 중국대외무역연구소 진바이쑹(金柏松) 연구원은 17일 중국 관영 영자지 차이나데일리에 기고한 글에서 “일본의 최대 채권국으로서 중국의 힘을 사용하는 것이 일본에 경제제재를 가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19일 “중·일 갈등이 일본 자동차업계에 쓰나미보다 더 큰 타격을 주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중국은 센카쿠 주변에 해양 및 어업감시선을 11척에서 14척으로 증강했다.
중국은 일본 측이 추진 중인 중국 내 반일시위로 인한 피해배상에 대해서는 외교부 대변인을 통해 ‘적절한 처리’가 이뤄질 것이라며 한발 물러서는 분위기다. 그러나 일본 제품에 대해서는 세관 통관을 지연시키는 전략으로 일본을 경제적으로 압박하고 있다.
◇일본, 中 공세에 움찔? 강온 전략=수세에 몰린 일본의 대응은 화전양면 전략이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일본 해상보안청은 18일 센카쿠 해역에 약 50척의 순시선을 배치했다. 일본 정부가 중국 해양감시선과 어선의 센카쿠 해역 출현에 맞서 가동 가능한 순시선 중 절반을 투입하며 경계강화에 나선 것이다. 자민당 총재 경선에 나선 4인의 후보들도 19일 센카쿠 영유권 수호를 결의했다.
일본은 한편 이달 하순 열리는 유엔총회에서 양국 외교장관 회담을 추진하는 등 센카쿠 사태 수습을 위해 중국과의 대화를 모색하는 모양새다. 노다 요시히코 총리는 18일 방송에 출연해 “외무상도 포함해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중국과의) 대화 채널을 보다 넓게 가져가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구성찬 기자 ichthu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