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말기 자급제’ 뒷짐진 방통위… 알뜰폰 활성화 막아
입력 2012-09-18 18:45
이동통신사들이 유통업체와 손을 잡고 알뜰폰(MVNO) 시장 개척에 나섰지만 단말기 수급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MVNO 활성화는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업계 관계자들은 18일 “단말기 수급 문제로 MVNO 업체들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유통업체들이 잘 해낼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한목소리로 우려했다.
현재 MVNO 시장을 찾는 소비자 대부분은 스마트폰 사용을 원하고 있다. 이들은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 3사의 비싼 요금제를 피하기 위해 MVNO 시장을 찾고 있다.
문제는 중고 스마트폰이건 신형 롱텀에볼루션(LTE)폰이건 단말기 자체를 구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지난 5월부터 방송통신위원회가 단말기 자급제(블랙리스트)를 시행했지만 여전히 시장에선 단말기를 찾아볼 수 없는 상황이다. 방통위는 뒷짐만 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MVNO사업자협회 회장사인 한국케이블텔레콤 장윤식 대표는 “시장 활성화를 위해 우선 이통사와 제조사 간 보조금 고리를 끊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통사와 제조업체들은 약정할인, 제조업체할인 등 요금할인 형태로 긴밀한 커넥션을 구축하고 있기 때문에 MVNO 업체들이 끼어들 틈이 없다는 것이다.
중고 스마트폰 구하기도 하늘의 별따기다. 모바일 커뮤니티 사이트인 세티즌, 뽐뿌 등 인터넷을 통해 중고폰 시장이 형성됐지만 수요에 비해 공급은 턱없이 부족하다. 스마트폰 시장이 형성된 게 3년밖에 안 됐기 때문에 중고 스마트폰이 나올 시기는 아니라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통사와 제조사 간 비정상적인 유통 구조를 없애는 게 시장 활성화의 우선 과제인데 이를 해결해야 할 방통위는 손을 놓고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방통위는 MVNO가 이통 3사와는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펼쳐야 한다는 원론적 얘기만 되풀이하고 있다.
방통위 관계자는 “요즘 LTE폰은 100만원에 가까운 고가라 이를 판매하려면 엄청난 마케팅 비용이 필요할 것”이라며 “제조업체들도 이를 고려해서 단말기를 제공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