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박근혜 주변에 잇따르는 비위 의혹

입력 2012-09-18 18:31

기강해이 되돌아보고 환부 가차 없이 도려내야

새누리당 홍사덕 전 의원이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검찰에 고발됐다. 홍 전 의원은 어제 당과 박근혜 대통령 후보의 부담을 덜어주겠다며 자진 탈당했지만, 새누리당과 박 후보 캠프에는 철저한 자기반성과 보다 근원적인 처방이 필요하다.

홍 전 의원은 4·11 총선을 앞두고 당원인 중소기업 대표에게서 6000만원의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홍 전 의원은 이를 강력 부인했고, 중소기업 대표도 돈을 준 사실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홍 전 의원을 고발한 중앙선관위는 한 달 이상 제보 내용을 조사했고 돈다발 사진 등 구체적인 증거자료도 확보했다고 밝히고 있다.

실체적 진실은 검찰 수사와 향후 재판 과정을 통해 가려지겠지만, 박 후보 캠프는 의혹만으로도 큰 타격을 받았다. 홍 전 의원이 2007년에 이어 이번 대선 경선에도 박 캠프의 선거대책위원장을 맡는 등 자타가 공인하는 친박 진영의 좌장 역할을 해왔기 때문이다. 홍 전 의원의 탈당에도 불구하고, 박 캠프의 실추된 이미지는 대권 가도에 큰 부담이 될 전망이다. 앞으로 검찰 수사가 진행되면서 중간 결과들이 공개되고 야당이 공세를 계속할 것이니 만큼 박 캠프에 계속 악재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이번 사건은 친박계인 현기환 전 의원과 현영희 의원이 지난 총선 때 공천 관련 뒷돈을 주고받은 혐의로 검찰에 고발된 이후 또 불거져 파장이 증폭되고 있다. 현영희 의원은 불구속 기소, 현기환 전 의원은 무혐의로 검찰수사가 마무리되는 모양새이지만, 박 후보가 진두지휘했던 총선에서 측근들의 비위 의혹이 잇따라 발생함으로써 박 캠프 전체의 도덕성이 의심받고 있다.

박 후보는 지난달 대선후보 수락연설에서 “진정한 개혁은 나로부터, 가까운 데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저와 제 주변부터 더욱 엄격하게 다스리겠다”고 천명했다. 당 정치쇄신특위는 친인척과 권력형 비리를 방지하기 위한 특별감찰관과 상설특검 제도 등을 발표했다. 하지만 측근들의 비위 의혹으로 부패 척결과 정치 쇄신 의지의 빛이 바래고 있다.

박 후보 진영은 왜 측근들이 의혹의 중심에 서는 일이 자꾸 발생하는지 원인을 철저히 따져보고 제 살을 깎는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대세론을 등에 업은 측근들의 긴장이 해이된 때문이라면 기강을 다잡고, 이미 비리가 불거진 환부는 통째로 도려내야 한다. 선관위의 고발이나 검찰 수사에 정치적 토를 달 것이 아니라 한 점의 의혹도 남지 않도록 수사에 적극 협력해야 한다.

‘벌써 이러면 당선 후에는 도대체 어찌 된다는 말이냐’는 국민들의 한숨 섞인 우려를 박 후보 진영은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홍 전 의원이 과거 제안했듯 노쇠 이미지 해소를 위해 55세 이상 측근들이 박 후보로부터 5.5m 떨어지는 정도로는 안 된다. 부패한 측근은 가차 없이 캠프는 물론 아예 정치에서 영원히 퇴출시킴으로써, 비리 척결이 그저 선거공약이 아니라 살아있는 정치개혁 목표임을 분명히 보여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