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항 해상매립지 개발 국토부 용역 중단으로 차질
입력 2012-09-17 18:58
전북 군산항 내항에 조성된 해상매립지를 친수시설로 개발하는 방안에 차질이 생겼다. 국토해양부가 ‘군산항 내항 준설토투기장(해상매립지)’의 활용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 5월부터 진행해 오던 용역을 돌연 중지했기 때문이다.
군산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문을 국토부로부터 받았다고 17일 밝혔다. 국토부는 4억2900만원을 들여 해상매립지 활용방안 구축 용역을 1년간 진행할 방침이었으나 넉달 만에 중지했다.
군산과 인접한 충남 서천군이 반발하는 상황에서 용역 수행이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서천군과 충남도는 해상매립지 활용방안이 ‘해상도시 건설’ 계획이라며 정부에 용역 중단을 촉구해 군산시 등과 마찰을 빚어 왔다.
국토부는 “이 용역은 군산과 서천 두 지자체 간 이견이 있고 서천에서 금강하구에 대한 종합대책을 건의해 와 일단 중지한 상태”라면서 “두 지자체의 협의가 이뤄질 경우 곧바로 용역을 재개할 것”이라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부의 이 같은 결정에 군산시민들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시민들은 “특정지역의 여론을 의식한 국토부의 무소신·눈치보기 행정”이라며 “누가 보더라도 명분 없는 정치적 논리가 작용했다”고 비판했다. 이로 인해 금강 하굿둑 해수유통 문제를 둘러싼 군산시와 서천군의 갈등도 더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난감해진 군산시는 다시 해법 찾기에 골몰하고 있다. 시는 “서천군과 대화와 타협으로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용의가 있다”며 “서천군은 반대를 위한 반대가 아닌 대안을 제시하고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내놔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군산시 해망동 해상매립지는 1985년 군산항 항로 유지를 위해 퍼 올린 퇴적물로 조성된 202만㎡ 규모의 인공섬이다. 지난해 7월 국토부의 항만기본계획상 항만친수시설로 고시돼 용역이 진행돼 왔다.
군산시는 “이 매립지를 ‘근린공원’으로 조성키로 했다”며 “서천군이 주장하는 해상도시와는 거리가 멀다”고 강조했다.
군산=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