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광역소각장 확대… 인접 시·군 쓰레기 처리

입력 2012-09-16 21:45

경기도는 앞으로 소각시설 건설 시 인접한 시·군끼리 함께 쓰레기를 처리하는 광역소각을 우선으로 검토키로 했다고 16일 밝혔다.

또 기존의 소각시설이 낡아 사용할 수 없게 되면 이 소각시설과 인접한 소각시설을 한데 묶어 광역소각시설로 전환하기로 했다.

광역소각장 건설에 합의한 지역에 대해서는 도로건설비 등 인센티브를 주는 대신 검증 안 된 신기술을 도입하는 등 무리하게 추진하는 소각장 건설은 제약을 두기로 했다.

쓰레기 처리 광역화는 인접한 지자체를 하나의 공동 처리구역으로 설정해 광역화 설비를 구축, 효율성과 불필요한 운영비를 줄여 나가는 시스템이다.

도는 광역소각시설 설치 확대로 지자체간 협력을 유도해 소각처리 효율을 높이고 예산을 절감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도가 쓰레기 광역소각화를 추진하는 것은 광역소각에 따른 큰 효과가 입증됐다고 보기 때문이다.

현재 도내에서 광역소각시설을 갖춘 곳은 광명·과천·이천·화성·파주·구리·양주 등 7곳이다. 광주·하남·여주·양평·이천 등 5개 시·군의 쓰레기를 처리하는 이천소각시설을 제외하고 나머지 광역소각시설은 인접한 1개 지자체와 공동으로 쓰레기를 처리하고 있다.

이들 광역소각시설은 매년 20억∼40억원에 이르는 시설운영비를 공동으로 부담해 비용을 줄이고 소각장에서 나오는 폐열을 판매해 연간 84억원의 수익도 올리고 있다.

최근에는 수도권매립지가 반입쓰레기 단속을 강화하면서 평택시가 생활쓰레기 처리에 어려움을 겪은 것도 광역소각 추진의 한 이유가 됐다. 도는 평택시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쓰레기 50t을 지난 11일부터 화성 광역소각장에서 받아 처리하도록 중재해 평택시의 고민을 해결해줬다.

도 관계자는 “수도권매립지 반입 제한에 따른 쓰레기 처리를 위해서라도 광역처리는 절실하다”며 “도내 소각시설의 노후화에 따른 보수 시점이 다가오면서 광역소각 처리는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고 말했다.

수원=김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