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장 잇단 훈풍] 대선 앞둔 美 정치권 논란… 일부선 기대감보단 부작용 우려
입력 2012-09-14 19:04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3차 양적완화(QE3)는 민감한 ‘타이밍’으로 인해 정치적 편향 논란도 불러일으켰다. 미 대선이 50여일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경기부양 조치는 경제회복 지연으로 곤경에 처한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게 유리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예상대로 일부 공화당 소속 의원들로부터 가시 돋친 비난이 쏟아졌다. 밥 코커 상원의원(테네시)은 “연준의 조치에 실망했다”며 “벤 버냉키 의장이 독립적 기관으로서 연준의 위상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같은 당의 스콧 개럿 하원의원(뉴저지)은 이번 조치에 대해 “과격하고 전례 없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를 의식한 버냉키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연준의 결정에 어떠한 정치적 고려도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연준은 초당파, 비정치적이기 위해 정말 열심히 노력해 왔고, 이는 성공적이었다”며 “우리는 온전히 경제만 고려했다”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양적완화에 대한 기대감보다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경제전문가 51명을 대상으로 벌인 조사에서 절반 이상인 28명은 ‘연준이 QE3를 시행하면 실수’라는 의견을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연준이 장기금리를 끌어내리면 유동성 확대로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부추겨 명목금리 상승을 일으킬 수 있고, 이는 실질금리 인하 효과를 상쇄할 것이라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아울러 확대된 유동성이 실물부문에서 투기 분위기를 조장하고, 달러화 약세에 따른 환율 전쟁과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다소 이른 전망도 나온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