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아산 택시영업 갈등 풀리나… 아산시, 요금 내려 천안시와 같아져
입력 2012-09-13 22:14
8년이나 끌어온 충남 천안-아산시 간 택시영업 구역 갈등이 조만간 실마리를 찾을 전망이다. 양 도시의 영업권을 침해하지 않는 현행 체제를 유지하는 쪽으로 매듭질 가능성이 높다.
천안시 한 관계자는 13일 “아산 택시의 요금이 천안보다 비싸 시민들의 불이익 해소 차원에서 역사 주변의 공동영업을 주장했었다. 그러나 아산시가 요금을 내려 천안시와 같아졌기 때문에 당초의 주장을 포기하고 현행 체제를 유지키로 했다”고 말했다.
택시영업 구역 갈등은 2004년 천안과 아산 경계지역에 KTX 천안·아산역이 들어서면서 촉발됐다. KTX 역사가 행정구역상 아산시 배방읍 장재리에 있어 천안지역 택시가 역 주변에서 공식적으로 영업을 하지 못하게 된 게 원인이었다.
아산시 택시업계는 천안 택시가 역 이용객을 천안에서 태워 역사까지 영업을 할 수 있지만, 역에 대기하다가 손님을 태워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천안시 택시업계는 아산 택시도 역에서 나온 손님을 태워 천안까지 영업을 할 수 있지만, 천안에서 대기하다 손님을 태울 수 없다고 맞섰다.
천안시는 천안권 손님이 훨씬 많은 만큼 천안·아산역 주변을 공동 영업구역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반면 아산 택시업계는 역사 주변 택시사업구역을 통합하려면 차라리 천안과 아산 전역을 공동 사업구역으로 통합하자고 제안했다.
국토해양부는 지난 6월 말까지 양측 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직권 조정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천안 택시업계는 상경시위에 나서는 등 강력 반발했다. 국토부가 ‘천안·아산역을 공동사업구역으로 우선 지정한 뒤 추후 전체 사업구역을 통합하자’는 용역결과를 토대로 직권 조정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문 때문이었다.
국토부는 현재 천안시가 입장을 바꿈에 따라 직권조정을 미루고 양측 입장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산시는 천안시가 이번 갈등을 촉발해 아산시민과 운수업계에 상처를 준만큼 공개 사과와 재발방지 이행각서, 피해 보상 등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아산시 관계자는 “아산에서 택시를 타고 천안으로 갈 경우 받던 시계 외지역 할증요금을 폐지했고, 천안보다 높은 아산 택시 기본요금을 천안 쪽과 맞추기 위해 인하해 아산 택시업계가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했다.
천안=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