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선대위에 전권 위임… 사무총장 이하 당직자 일괄 사퇴론 나와

입력 2012-09-13 22:02

민주통합당이 대선 후보 중심의 선거대책위원회에 전권을 위임하는 쇄신책을 단행키로 했다. 사무총장 이하 당직자 일괄 사퇴 가능성도 제기됐다. 그러나 당 지도부가 선대위원장 영입에 나선 정황이 포착되면서 문재인 상임고문 측은 불편한 기색이지만 갈등으로 비춰지는 것은 경계하는 분위기다.

김현 대변인은 13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선대위 기구 구성 권한을 후보에게 주고, 대선과 관련된 인사·재무권한 등을 선대위에 부여하는 방향으로 당헌과 당규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 의원은 “최근 지도부의 비공개 회의에서 후보에게 힘을 실어주기 위한 당직자 일괄 사퇴론도 거론됐다”고 전했다.

경선 불공정 논란 등으로 비롯된 당내 갈등을 서둘러 추스르고 대선 본선에 집중하겠다는 움직임이다. ‘지도부 투톱 퇴진론’ 등 인적 쇄신 요구에는 당직자 일괄 사퇴로 대신해 일정부분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매주 세 차례 열리는 최고위원회의를 선대위 회의로 대체하고, 원내대책회의도 선대위 회의와 병행하도록 함으로써 이 대표와 박 원내대표가 2선으로 빠지는 모양새를 만드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와 함께 친노(親盧·친노무현) 백의종군론이 탄력을 받고 있다. 박홍근 의원은 “국민들이 친노세력의 폐쇄성을 우려하고 있기 때문에 후보는 국민참여형 선대위를 결단해야 한다”며 친노 프레임 탈피를 강조했다. 민주당은 결선투표 없이 후보가 결정되면 17일 쇄신안을 의결할 방침이다.

그러나 지도부의 계산된 ‘꼼수’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손학규 상임고문은 “지도부가 선대위를 거론하는 것 자체가 특정 후보와 한통속이라는 증거”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당 관계자는 “선대위를 맡을 친노, 비노계 현역 의원과 외부 인사 등이 벌써 정해졌다는 설까지 나온다. 당직자 사퇴론을 앞세운 반쪽짜리 쇄신안으로 여론을 떠보려는 게 아닌가 싶다”고 지적했다.

실제 이 대표 비서실장인 김태년 의원은 지난 8일 진보성향 학자인 서울대 조국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에게 선대위에 참여해달라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보냈는데 이 장면이 카메라에 잡혀 논란이 됐다. 조 교수는 위원장직을 거절했다. 이에 문 고문 측은 발끈하는 분위기다. 캠프 핵심 관계자는 “후보가 결정되면 선대위가 결정할 문제인데 왜 지도부가 나서느냐”고 반발했다. 이 관계자는 “하지만 이 대표 모르게 김 의원 스스로 한 일로 확인돼 문제 삼진 않을 것”이라고 했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