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기업의 협력업체 현금결제 상시화돼야
입력 2012-09-13 18:39
추석을 앞두고 대기업들의 협력업체들에 대한 대금 조기 결제 소식이 여기저기서 들린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다음 달 2일까지 지급키로 돼 있는 협력업체 대금 총 4000억원에 대한 결제를 추석 연휴 전인 28일까지 마무리하기로 했다. 이마트 롯데슈퍼 세븐일레븐 등도 비슷한 계획을 추진한다.
민족의 대명절을 맞아 대기업들이 협력업체들을 배려해 적극적으로 대금 결제의 편의를 제공하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특히 올 들어 경기가 하강국면을 이어가고 있어 중소 협력사들의 경우 판로가 원활하지 않아 매출이 줄고 자금사정이 덩달아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돌이켜보면 중소 협력업체에 대한 대기업들의 행태는 그야말로 갑과 을의 관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납품업체뿐 아니라 하도급 및 용역업체 등에서 광범위하게 발견되는 현상이다. 후진적 관행은 조금씩 바뀌고 있으나 아직 완전히 없어지지는 않았다.
발주기업 ‘갑’과 하도급, 용역기업 ‘을’ 사이에 빚어지는 납품단가 후려치기, 현금이 아닌 어음 결제, 그마저도 결제 시기 지연 등이 바로 그것이다. 계약에서부터 대금 지급에 이르기까지 갑의 횡포가 만연해서는 경제생태계의 원활한 발전은 고사하고 갑과 을의 상생 자체를 어렵게 한다.
이 같은 불공정 행태는 공정거래위원회를 비롯한 정부당국의 치밀한 감시와 엄격한 법 적용이 전제돼야 하겠으나 더 중요한 것은 대기업의 상생노력이다. 따지고 보면 협력업체가 없으면 대기업의 존립 자체가 어려운 것도 사실이지 않은가.
명절을 앞두고 대기업들이 대금 결제시기를 앞당겨 협력업체에 가급적 편의를 제공하려는 태도는 마땅히 칭찬받아야 한다. 이는 동반성장, 상생발전이라는 시대적 의제 구현과도 직결된 문제다. 다만 대기업의 협력업체에 대한 진정한 협력관계는 명절 때만이 아니라 평소에도 일상적으로 전개돼야 한다. 한 사회를 발전시키는 힘은 구성원 사이에서 무릇 공존이라는 공감대가 기대될 때 비로소 발현될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