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기업도 ‘양극화’… 서울지역 상위 2곳이 총매출 46% 차지

입력 2012-09-12 22:33

취약 계층에 일자리와 사회적 서비스 제공을 추구하는 ‘서울형 사회적기업’ 간에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뚜렷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는 2009년 사회적기업 육성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2010∼2011년 총 411개의 서울형 사회적기업을 지정·운영해 오고 있다.

서울연구원은 서울형 사회적기업 중 103곳의 경영성과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이들 기업 총 매출액의 절반 가까이를 상위 2개 기업이 차지했다고 12일 밝혔다. 103곳의 총 매출액은 893억1400여만원, 매출원가는 351억3100여만원, 당기순이익은 -6400여만원이었다. 이 중 상위 1·2위 기업의 매출액은 전체의 45.8%인 408억4400여만원이었다. 상위 10대 기업의 매출액은 647억200여만원으로 72.6%를 차지했다.

조달호 책임연구위원은 “상위 9개 기업은 당기순이익이 1억원을 넘지만, 전체적으로는 6000만원 이상 적자가 발생한 만큼 나머지 기업 대부분은 이익을 내지 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사회서비스 제공형 기업의 경우 정부지원금 등 영업외 이익이 영업이익의 2배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돼 정부 지원 없이는 자생이 힘든 것으로 분석됐다.

취약계층 고용도 업종별로 편중이 심했다. 취약계층 고용률은 물류택배의 경우 91.3%, PC·소모품은 80%, 보건은 73.3%로 비교적 높았다. 반면 문화·예술 20%, 보육 27.3%, 교육 35.3%에 그쳤다. 특히 취약계층보다 더 많은 일반인이 사회적기업이 제공하는 사회서비스를 받고 있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사회적기업이 제공하는 사회서비스의 혜택을 보는 일반인은 72만4000명으로 취약계층 30만6000명의 2배 수준을 웃돌았다.

조 위원은 “서울형 사회적기업으로 지정되면 시가 1년차에 인건비의 90%를, 2년차에 60%를 일률적으로 지원해 왔다”며 “이제 성과 평가에 따라 맞춤형 지원을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