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승패 ‘PK’가 좌우?… 야권 유력 대권주자 안철수·문재인의 고향
입력 2012-09-12 22:19
대통령 선거를 3개월여 앞두고 PK(부산·경남) 지역이 새로운 승부처로 떠오르고 있다. 역대 대선이 영호남 지역구도 속에 충청권이 승패를 갈랐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영남권, 특히 PK 지역 표심에 의해 대선 결과가 달라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PK는 그동안 새누리당 전통 강세 지역으로 분류돼 왔지만 야권의 유력 대권 주자들이 이 지역 출신이고 지난 4·11 총선에서 야권의 약진이 두드러지면서 어느 한쪽의 일방적 강세를 점치기 어려운 상황이다. 4·11 총선 비례대표선거 결과를 보면 부산에서 새누리당은 51.3%의 정당 지지율을 기록했고, 진보진영인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의 지지율 합계는 40.2%에 달했다.
대선 초반 PK에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 야권 후보의 지지율 격차는 10% 포인트 안팎에 불과하다. 리서치앤리서치가 지난 8∼10일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부산·울산·경남에서 박 후보와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은 각각 50.7%, 41.4%를 기록했다. 박 후보와 민주당 문재인 상임고문의 양자대결은 48.3%, 38.8%로 나타났다. 2002년 대선 당시 부산에서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가 66.7%, 민주당 노무현 후보는 29.9%를, 2007년 대선 때는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 57.9%,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가 13.5%를 득표한 것과 비교하면 사뭇 다른 양상이다.
이는 영남권에서 ‘신(新)지역주의 구도’가 형성될 수 있다는 전망과도 연결된다. 영남권이 박 후보에 대한 공고한 지지를 보이는 TK(대구·경북)와 안 원장, 문 고문 두 사람의 고향인 부산을 중심으로 한 PK로 양분돼 엇갈린 표심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신지역주의는 이명박 정부 들어 제기된 ‘PK 소외론’과 무관치 않다. 가덕도 신공항이 무산되고 해양수산부가 폐지된 점, 부산저축은행 영업정지 사건 등이 겹치면서 여권 전체에 대한 반감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당내에서는 과거와 달리 박 후보가 일방적 독주를 하기 어려워졌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이에 따라 새누리당이 중앙선대위에 부산 출신 김무성 전 원내대표와 경남 거창 출신 김태호 의원 등 PK 인사를 대거 중용하고 신공항 추진과 해양수산부 부활 등의 정책을 제시하며 ‘PK 사수’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돌고 있다. 윤희웅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조사분석실장은 12일 “PK가 대선에서 중요 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여권 지지표가 이탈하고 야권이 노무현 전 대통령 이상으로 득표하게 되면 새누리당이 불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