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활성화 대책 시기 불투명… 입주예정자들 “잔금일 늦춰주오”
입력 2012-09-11 19:04
취득세와 양도세 감면을 골자로 한 부동산 거래 활성화 대책의 시행시기가 불투명해 새 아파트 입주 예정자들과 집을 사려던 실수요자들이 일정 조정에 나서는 등 시장에 혼란이 빚어지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전날 취득세 50% 감면 방안이 발표되자 이날 시공사에는 이달 말이나 다음 달 초 입주 예정인 아파트 계약자들이 어떻게 해야 세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문의전화가 잇따랐다.
이달 25일과 28일 각각 입주를 시작할 예정인 부천 소사역 푸르지오와 부산 다대 푸르지오의 일부 계약자들은 정부 대책이 나오자마자 시공사인 대우건설로 전화를 걸어 서류상 잔금 납부 날짜를 취득세 감면 시행시기 이후로 기재해줄 수 있는지 문의했다. 입주를 시작한 경기도 평택시 비전동 ‘효성백년가약’에서도 아직 잔금을 내지 않은 계약자들이 납부일을 늦춰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GS건설이 시공한 광교상록자이의 입주자모임도 인터넷 카페를 통해 먼저 입주를 한 뒤 취득세 감면 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는 시점에 잔금을 납부하는 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
건설사들도 이번 대책을 9∼10월 입주 예정인 주택사업장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검토에 들어갔다.
미분양 아파트를 사면 양도세 감면 혜택까지 받을 수 있어 실거주 목적으로 집을 알아보는 수요자들의 관심이 조금씩 커지고 있다. 평택 효성백년가약 사업장에는 평소 하루에 10통가량 걸려오던 미분양 문의전화가 전날 하루에만 50통 이상 쇄도했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그러나 세금 감면 정책의 실제 적용시기가 불투명해 오히려 미분양 아파트 등을 구입하려던 실수요자들이 도로 지갑을 닫는 부작용도 벌어지고 있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어제까지 조금씩 미분양 물량이 팔려나가던 사업 현장에서는 오늘부터 연락이 끊겼다”며 “아직 정책이 시행된 게 아니니까 그때까지 계약을 늦추려고 한다”고 말했다.
여기에다 이번 대책은 적용기간이 짧고 전반적인 주택경기가 하강곡선을 그리는 상황이어서 기대만큼 큰 효력을 발휘하기는 어려워 보인다는 지적도 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