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지킴이’ 사회적 기업 육성한다

입력 2012-09-11 18:56

제주 올레길 탐방객 살해사건으로 ‘힐링 코스’에 대한 안전성 논란이 불거지고, 학교 주변 아동 성범죄가 급증하자 정부가 사회적 기업을 통한 ‘안전지킴이’ 육성에 나섰다. 범죄 예방과 노인 일자리 창출을 연계하겠다는 전략이다.

고용노동부는 ‘나홀로 관광객’을 보호하고 학교폭력·아동 성범죄 등 학교 관련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지역 단체를 예비 사회적 기업으로 지정해 운영키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전국에 퍼져있는 해병전우회와 시니어클럽이 1차 대상이다. 여기서 선발된 노인층 안전지킴이들은 제주 올레길과 지리산 둘레길의 주요 거점별로 관광객과 동행하며 안전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게 된다. 대신 지역 특산품을 판매하는 사업을 정부가 지원한다.

학교 안전지킴이도 노인 일자리 창출 면에서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운영하는 ‘학교보안관’ 제도와 성격은 비슷하지만 지역 단체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고용부 관계자는 “학교장이 선발하는 학교보안관 제도가 학내 위주라면 사회적 기업 안전지킴이들은 학교 주변 교통안전과 범죄예방 활동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도 추진된다. 고용부는 지방자치단체나 지역 상인회가 지역화폐를 발행하거나 카페를 운영할 수 있는 마케팅 전문조직을 설립할 경우 예비 사회적 기업으로 지정해 지원키로 했다. 소비자들이 전통시장을 꺼리는 이유로 꼽는 주차문제와 택배서비스에 특화된 사회적 기업도 발굴할 계획이다.

창업을 희망하는 청년들이 전통시장 내 빈 점포에 입주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소셜벤처’ 경연대회를 개최해 침체된 전통시장의 분위기도 살린다는 방침이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