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저항의 경제체제’ 구축… 국정조정위원장 “핵개발 제재맞서 원유의존 낮추고 수입 축소”
입력 2012-09-11 18:35
이란이 핵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한 국제사회 제재에 맞서 원유 의존도를 대폭 낮추고 수입도 대폭 줄이는 등 경제구조 재편을 천명했다. 이른바 ‘저항의 경제(Economy of Resistance)’ 체제로의 전환이다.
모흐센 레자이 이란 국정조정위원장은 11일 파이낸셜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국가 경제구조 재편에 착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란 거시경제와 정치, 문화정책 등을 입안한 인물이다.
레자이 위원장에 따르면 이란은 수십년간 자국 경제를 떠받쳐왔던 원유 의존도를 대폭 낮추고 수입품 역시 큰 폭으로 줄일 예정이다. 수입품은 국내 생산 제품으로 대체하고 국내 산업 활성화를 위해 세금도 줄이기로 했다. 한편 다른 국가와의 물물교환도 추진할 계획이다. 그는 “제재가 없었다면 원유 의존도를 낮추려는 생각을 못했을 것”이라며 “제재가 이란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할 기회를 줬다”고 주장했다.
‘저항의 경제’는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툴라 알리 하메네이가 서방의 대이란 제재 극복을 위해 최근 언급한 경제체제다. 사실상 자급자족 중심 경제로 회귀하겠다는 의미다. 과거 국제사회로부터의 고립 및 식량난으로 ‘고난의 행군’을 선포했던 북한이나 쿠바 상황과 비슷하다. 석유수출국기구(OPEC) 2위의 산유국이었던 이란은 최근 순위가 떨어졌다. 레자이 위원장은 특히 “서방국가들이 이란을 북한이나 쿠바처럼 경제적으로 압박하는 데 의존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란 정부가 추산한 청년실업률은 28.6%에 달한다. 그러나 실상은 훨씬 악화됐다. 특히 리알화 가치는 계속 폭락 중이다. 9월 첫째 주 기준 리알화는 달러당 1만2259리알. 암시장에서는 2만6000리알에 거래된다. 1979년 이슬람혁명 이전 리알화 가치는 달러당 70리알 수준이었다.
이런 가운데 이란 국방부는 가까운 시일 내 사거리 2000㎞에 달하는 첨단 순항미사일을 공개할 것이라고 반관영 파스통신이 보도했다. 메흐미 파라히 국방차관은 특히 미국의 걸프지역 미사일방어(MD) 체계가 이란 미사일에 대적할 능력이 없다고 강조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