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희 여론조작 의혹 수사… 휴대전화 ‘3888’ 사용자 조사 당일 고리역할 주목
입력 2012-09-10 18:56
‘관악을 야권단일화 여론조작’ 사건과 관련, 검찰이 이정희 전 통합진보당 대표의 공모 여부를 밝힐 핵심 열쇠로 끝자리 번호 ‘3888’을 쓴 휴대전화 사용자의 역할 규명에 주력하고 있다. ‘3888’ 전화기는 이 전 대표 사무실 공용전화기로, 검찰은 여기에 사건의 비밀이 담겨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0일 검찰에 따르면 최근 업무방해 혐의로 구속된 이 전 대표 선거캠프 관계자 김모(44)씨가 여론조작 창구 역할을 한 ‘3888’ 휴대전화의 실제 사용자인 것으로 파악됐다. 김씨는 이 전 대표의 최측근으로 분류되며 당 대표 비서실 정무국장을 지냈다. 김씨는 검찰이 지난 3일 이 전 대표의 보좌진 등을 구속기소할 때도 신원이 공개되지 않았다.
검찰은 5급 비서관 이모(37)씨 등의 공소장에서 김씨 관련 부분을 전략적으로 ‘성명불상자(01×-××××-3888 휴대전화 사용)’라고 적었다. 이 전화는 이 전 대표 의원실이 공용으로 쓰던 것으로 경찰 수사 단계에서는 사용자 신원이 파악되지 않았다고 한다. 김씨는 지난 3월 17일 여론조사 기관에 나가 있던 이모(53·구속기소)씨가 조사 진행 상황 등을 ‘3888’ 휴대전화로 알려오면 이를 다른 보좌진에게 전파하는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지난 6일 이 전 대표 옛 후원회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면서 김씨를 함께 체포했다. 검찰은 김씨가 여론조작 상황을 이 전 대표에게 전달하는 ‘징검다리’ 역할을 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검찰은 김씨의 여론조사 당일 동선을 추적하는 한편 문자메시지 복원 등을 통해 이 전 대표의 공모 정황을 찾아낼 계획이다. 검찰 관계자는 “이 전 대표에 대해 불구속 기소는 없으며 구속영장 청구 혹은 무혐의 처분 중 하나일 것”이라고 말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