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비기독인 이사 선임 철회를”… 기독교 13개 교단 대표, 사유화 저지 기도회
입력 2012-09-09 20:34
연세대 사유화 저지를 위한 기독교대책위원회(위원장 박위근 목사)는 지난 7일 서울 정동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교회에서 기도회를 열고 학교 설립정신에 따라 정관을 회복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예장 통합 합동 백석 기장 기감 기성 기하성 기침 등 13개 교단 대표들은 “연세대는 이 땅을 향한 하나님의 구원 섭리와 그 뜻을 소중히 받든 선교사들의 거룩한 열매”라면서 “따라서 한국교회의 연세대 이사 파송은 기독교 정신에 기초해 인재를 양성한다는 건학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항”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또 “연세대 이사회는 건학정신을 훼손할 수 없으며 즉시 정관을 되돌려 놓아야 한다”면서 “교육과학기술부는 연세대 이사회가 정관을 무시한 채 비기독교인을 이사로 선임한 것과 사립학교법을 지키지 않고 이사 승인을 허가한 잘못을 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도회에서 이영훈 기하성 여의도순복음 총회장은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삶’이라는 메시지를 전하고 “교회가 개인이 아닌 하나님의 소유이듯 연세대도 누군가의 것이 아닌 하나님의 것”이라며 연세대를 다시 하나님의 품으로 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위근 예장 통합 총회장도 “연세대에 언더우드 동상을 세워놓고 그 정신을 훼손하는 것은 모순”이라며 “정관이 반드시 회복돼 연세대가 하나님의 학교로 남아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다가오는 예장 통합 총회에서 이 문제를 제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참석자들은 기도회를 마치고 조선일보 사옥 앞에서 피켓 시위를 하기도 했다.
연세대 사유화 문제는 이사회가 2011년 10월 사전 고지 없이 이사회를 열고 예장 통합 기장 기감 성공회 등 4개 교단 이사 파송조항을 삭제하면서 시작됐다. 이에 따라 한국교계 파송 이사 수는 6명에서 2명으로 대폭 줄었다. 교계는 학교 설립정신 훼손과 사유화를 우려하며 지난 1월 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서명운동과 기도회 등을 개최해 왔다. 과거 이사를 파송했던 4개 교단은 연세대를 상대로 이사장 연임 및 이사회 결의 무효소송을 제기해 3차 심리를 앞두고 있다. 연세대 이사장은 방우영 조선일보 명예회장이다.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