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어업·해양감시선 파견 검토… 日 센카쿠열도 국유화 대응조치

입력 2012-09-06 19:20

중국은 일본 정부의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 국유화 방침에 대응하는 조치를 조만간 발표할 것이라고 교도통신이 6일 보도했다.

중국은 우선 센카쿠 열도 해역에 어업감시선과 해양감시선을 일제히 파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대응조치에는 양국 간 각급 회담 등 인적 교류 중단도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이 통신은 경제보복도 신중히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중국은 2010년에도 일본과 센카쿠 열도를 둘러싸고 갈등을 빚자 희토류 수출을 중단하는 등 경제보복 조치를 취했다. 특히 중국 정부는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가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에게 냉정한 대응을 촉구한 서한을 보낸 뒤 센카쿠 열도 국유화를 추진한 데 대해 “앞뒤가 맞지 않다”며 불신도 커지고 있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중국 외교부 훙레이 대변인은 앞서 5일 브리핑에서 “일본은 수차례 중국의 제의를 염두에 두지 않고 국유화를 진행해 민족감정을 상하게 했다”며 “필요한 조치를 취해 영토 주권을 회복하겠다”고 말했다. 중국 신화통신도 일본의 센카쿠 국유화 방침을 ‘강도행위’라며 강력 비난했다.

한편 미 시사주간지 뉴스위크는 왜곡된 독도 관련 기사를 아시아판 최신호 커버스토리로 실었다. 뉴스위크는 일본에 대해 “국제사법재판소(ICJ)에서 독도 문제를 다루자는 입장”이라고 전한 반면, 한국에 대해선 “무력으로 점령해 비이성적인 태도를 보인다”며 비판했다. 또 “1905년 시마네현에 편입됐으므로, 한국 병합 전부터 이미 일본 땅이었다”는 일본 주장을 그대로 소개했다. 외교통상부 조태영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뉴스위크 기사는 잘못되고 대단히 편향된 시각에 입각한 기사”라며 “적절한 방식으로 반박할 것”이라고 밝혔다.

남혁상 이성규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