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명동·구로디지털단지 2013년 ‘보행전용 구역’ 된다

입력 2012-09-06 17:03


서울 명동과 구로디지털단지 일대가 내년 중 차량 통행이 전면 금지되는 보행자 전용구역으로 지정될 전망이다. 또 2014년까지 사대문 안 모든 교차로에 횡단보도가 설치된다.

서울시 도시교통본부는 6일 열린 정례간부회의에서 4가지 유형의 보행전용 거리 조성을 포함한 ‘보행친화도시 서울 만들기’ 방안을 보고했다.

시는 보행량이 많은 명동과 구로디지털단지, 동대문디자인플라자파크 지역의 보행자우선 도로를 거리(선) 단위에서 블록(구역) 단위로 확대해 ‘전면적 보행전용구역’으로 지정키로 했다. 명동 일대는 현재 중심 가로를 보행자우선 도로로 운영하고 있다. 전면 보행전용구역으로 지정되면 을지로입구역부터 명동역까지 일대 전체를 묶어 차량 통제가 이뤄진다. 시 관계자는 “지역 상인들과 시행 시기 및 방식 등에 대한 협의를 연말까지 마치고 내년 중 시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로와 이태원로 등은 주말 전일제나 시간제로 교통을 통제하는 ‘시간제 보행자 전용거리’로 조성된다.

노점상 등으로 보행여건이 열악한 신촌 연세로와 종로구 대학로, 영등포구 영중로 등은 차선을 축소하고 보도를 늘릴 계획이다. 이태원 음식문화거리 및 가구거리, 홍대입구 어울마당로, 종로구 북촌로5가길 등은 ‘전일제 보행자 전용거리’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다.

시는 이와 함께 2014년까지 사대문 안 모든 교차로에 횡단보도를 설치할 방침이다. 4대문 안 전체 교차로는 289곳이며, 이 가운데 145곳이 한 면 이상 횡단보도가 부족하다.

도심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실험도 이뤄진다. 청계천로 동아일보 앞∼신답철교 구간 5.9㎞이 토·일요일 오전 9시∼오후 6시 ‘시간제 가변 자전거도로’로 시범 운영된다. 시는 자전거 이용을 늘리기 위해 내년 중 차량 통행속도를 30㎞ 이하로 제한하는 ‘저속차량 우선 차로제’ 도입도 검토 중이다. 시 관계자는 “버스와 자전거가 충돌하지 않도록 버스중앙차로가 시행되는 도로 위주로 끝 차로를 저속차량 도로로 지정하는 것을 경찰 측과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