孫-金, 또 모바일 투표 항의… 골 깊어지는 민주 경선

입력 2012-09-06 01:14


민주통합당 손학규 상임고문과 김두관 전 경남지사가 5일 대선후보 경선의 모바일 투표 시스템에 심각한 오류가 발생했다며 모바일 투·개표 중단을 요구했다. 두 사람은 지난달 26일에도 모바일 투표 재검표를 요구하며 울산지역 경선에 불참했다. 그러나 최고위원회의와 중앙당 선거관리위원회는 “큰 문제가 아니다”고 결론을 내리고 경선을 그대로 진행할 방침이어서 모바일 투표를 둘러싼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모바일 투표 이번엔 또 왜?=손 고문과 김 전 지사 측은 “당 선관위와 각 캠프 대리인이 4일 밤부터 이날 오전까지 제주·울산지역 모바일 투표에 대해 검증작업을 벌였다”며 “그 결과 5차례로 규정된 전화 시도 횟수를 채우지 않은 채 기권 처리된 유권자가 제주 2879명, 울산 777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체 기권자(제주 1만6227명, 울산 5290명)의 17%에 해당한다. 모바일 투표는 선거인단에 등록한 유권자와 통화될 때까지 모두 5번 전화를 거는데, 유권자에게 전화벨이 울리지 않아 5회 수신 기록을 채우지 못한 사례들이 발견된 것이다. 제주의 경우 2879명 중 122명은 5차례 모두 전화를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손 고문 측 김유정 대변인은 “모바일 투표의 기술적 오류를 감안해 총 5차례 전화하도록 설계했다는데, 결과적으로 5차례를 채우지 못한 통화 오류가 발생했다”며 “17%의 유권자는 아예 투표용지도 받지 못한 셈”이라고 꼬집었다. 김 전 지사 측 김재윤 홍보본부장도 “그동안 모바일 투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책을 요구했으나 모두 묵살한 당 지도부와 선관위에 모든 책임이 있다”며 임채정 선관위원장의 사퇴를 주장했다. 양측은 순회투표와 현장투표는 진행하되 모바일 투·개표는 잠정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모바일 투표 잡음은 경선 초기부터 끊이지 않았다. 선거인단 모집 때 등록시스템 오류에 이어 지난달 24일 프로그램 집계 오류, 31일에는 본인인증절차 오류가 발생해 개표가 중단되기도 했다. 제주·울산 모바일 투표는 기권 처리 방식이 도마에 올라 비문(非文·비문재인) 진영의 반발을 샀다.

◇선관위, 최고위 “문제 없다”고 결론=당 선관위는 이날 오후 급하게 기자간담회를 열어 자초지종을 설명했다. 유인태 모바일 투표 검증단장은 “모바일 투표 주관업체가 제대로 5차례 전화를 걸었는지 온세통신에 확인한 결과 5회 전화 시도는 명백하게 이뤄졌다”며 “다만 수신자 입장에서 전화기록이 남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수신자가 지하공간이나 엘리베이터 등에 있어서 통화 음영지역을 벗어났거나 수신거부, 전화기를 끈 상태 등이 이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오후 9시 긴급 소집된 최고위원회의에서도 “선관위 모바일 검증단의 검증자료를 검토한 결과 문제가 된 제주지역 2879명에게 모두 5번의 전화가 발송은 돼 문제가 없는 것으로 최종 확인했다”고 김현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