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는 불황 직격탄… 조조정 대상, 건설·조선 중심 사상최대 규모 예상
입력 2012-09-04 19:21
지난 7월 서울중앙지방법원으로부터 회생절차 개시 결정을 받은 중소 건설사 삼환기업은 최근 1721억원에 이르는 유형자산을 일거에 처분한다고 공시했다. 삼환기업은 서울 소공동 부지와 지상 건물을 부영주택에 매각할 예정이다. 삼환기업이 총 자산의 10.38%에 이르는 부동산을 처분하는 이유는 ‘유동성 확보’였다.
경영 정상화를 위해 몸부림치는 중소·중견 건설사는 삼환기업뿐만이 아니다. 벽산건설은 최근까지 600명이던 임직원을 절반 가까이 감축했다. 대한건설협회 관계자는 “100대 건설사 중 워크아웃 대상으로 선정된 게 28곳”이라며 “소규모 건설사의 구조조정은 현황조차 파악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중소기업들에 초강력 ‘구조조정 태풍’이 불어닥치고 있다. 건설·조선업을 중심으로 사상 최대 규모의 중소기업이 올해 구조조정 대상에 오를 전망이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신용위험 세부평가 대상으로 선정된 중소기업은 1350여곳에 이른다. 글로벌 금융위기의 후폭풍이 한창이던 2009년의 861곳을 이미 훌쩍 뛰어넘은 수준이다. 채권은행은 신용위험 세부평가 대상으로 선정된 기업을 A∼D등급으로 재분류한다. C·D등급을 받은 기업의 경우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통보한다.
중소기업이 처한 경영난은 각종 지표에서도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중소 제조기업의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69로 2009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경기 호황·불황을 구분하는 BSI의 기준치는 100이다. 중소기업 중앙회가 발표한 7월 중소 제조기업의 평균 가동률은 금융위기 이후 35개월 만에 최저치로 드러났다. 매년 80% 이상을 유지하던 중소기업 기업공개(IPO) 비중도 올 상반기 들어 55.6%로 하락해 자금조달 상황마저 나빠졌다.
‘중소기업의 위기’가 본격화하자 금융 당국은 자금지원 방안을 마련 중이다. 금융위원회는 우선 유동성이 필요한 중소기업에 특별자금을 공급하는 ‘패스트트랙(신속지원제도)’을 내년 말까지 1년 연장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