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노다 ‘APEC 외교전’… 독도·위안부 문제 주도권 잡기 치열할듯
입력 2012-09-04 19:07
러시아서 8일 정상회의
독도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놓고 격돌했던 한·일 양국이 오는 8일부터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이틀간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공동체(APEC) 정상회의에서 또 한번 총력 외교전쟁을 벌일 전망이다.
이번 APEC 정상회의에는 이명박 대통령과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등 한반도 및 주변국 정상이 모두 참석한다. 미국은 차기 대통령선거를 앞둔 버락 오바마 대통령 대신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이 올 예정이다. 따라서 한·일은 이들 국가 정상과 클린턴 미 국무장관을 상대로 비공개 양자회담 등을 갖고 국제사회 초미의 관심사가 된 두 사안에 대한 주도권 확보 경쟁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일단 정부는 일본의 편협한 과거사 인식이 그대로 반영된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서는 미·중·러 등과 상당한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독도 사안에 대한 우리 정부의 입장을 집중적으로 설명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지난달 10일 독도를 전격 방문했던 이 대통령은 일본이 미국을 상대로 ‘독도 사안’ 협조를 받아내려 할 것으로 판단하고, 클린턴 장관을 만나 일본의 영유권 주장의 부당성을 알릴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일본은 지난달 외교 경로를 통해 미 국무부와 접촉해 독도 영유권 분쟁을 국제사법재판소(ICJ)로 가져가는 일에 협조를 요청한 바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4일 브리핑을 통해 “대통령은 평소에 자주 만나지 않은 아시아 정상들을 주로 만날 것”이라면서도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은 확정적이고 후 주석과도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만약 이 대통령과 후 주석의 만남이 성사될 경우 한·중 양국이 영토 분쟁뿐만 아니라 일본의 과거사에서까지도 같은 입장이라는 점에서 자연스럽게 이들 문제가 거론될 가능성이 높다. 일본과 쿠릴열도 영토분쟁을 벌이는 러시아와도 이 문제가 언급될 수 있다.
한편 청와대는 7∼10일 이뤄지는 독도방어훈련에서 해병대의 대규모 상륙작전 훈련을 제외키로 한 데 대해 “대통령이 직접 독도를 찾은 것보다 더 큰 대일(對日) 경고 메시지는 없다”고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독도는 대한민국 어느 도서보다 강력하게 우리 주권과 법이 집행되는 곳”이라면서 “굳이 해병대가 적(일본)의 독도 침탈을 가상해 상륙훈련까지 할 필요가 없다. 과유불급(過猶不及)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