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교단 총회 핫이슈] (1) 예장 합동
입력 2012-09-03 21:21
GMS, 총회 산하기관으로 전환 정상화 모색
오는 17∼21일 대구 성명교회에서 열리는 예장 합동 97회 총회의 의미는 크다. 한국교회 5만 교회 중 1만1450여개가 예장 합동에 소속돼 있기 때문에 교단의 문제는 한국교계에 파장을 미친다.
이번 총회의 주요 이슈는 총회세계선교회(GMS) 정상화와 아이티 구호금 전용 의혹, 선거제도 변경, 찬송가 문제, 헌법 전면 개정, 목회자 세금납부 연구,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 문제, 탐라대 매입 건, 목회자 윤리강령 제정 등이다.
GMS 문제는 선교사 안식년 기금이 미주연락사무소 구입에 사용되면서 불거졌다. 이후 선교사 49명이 횡령 혐의로 자신을 파송한 이사회를 고소했지만 무혐의 처리됐다. 이사회는 적법한 절차에 따라 업무를 진행했다며 5명의 선교사를 징계했다. 예장 합동은 GMS문제조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양측의 화해를 모색하고 있지만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현재 총회 독립기관인 GMS를 감사하고 총회 산하기관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헌의안이 상정돼 있다.
아이티 구호금 문제는 기금 전용과 관련돼 있다. 구호금이 중국과 필리핀 등 기타 구호활동에 쓰인 것과 총회 허락 없이 비전센터 설계비와 건축시공 선급금을 지출한 게 문제되고 있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선거제도 변경은 단골 이슈로 등장했다. 제비뽑기가 리더십을 느슨하게 만들었기에 보완책을 하루빨리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 ‘직선제+제비뽑기’ 제도가 심도 깊게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또 비법인인 한국찬송가공회가 출시할 새찬송가 선택을 두고 찬반 공방이 예상된다.
특히 총회실행위원회가 한기총 회장 후보를 선출·파송할 권한이 있는지 여부와 총회실행위 결정을 원인 무효로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예상된다. 한기총이 분열을 극복하고 통합될 때까지 교단 분담금 납부를 중지해야 한다는 헌의안도 올라와 있다.
눈에 띄는 것은 목회자 납세의 영향과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목회자납세연구위원회 설치 헌의안이 상정됐다는 것이다. 또 ‘목회자가 바로서야 한국교회가 올바로 설 수 있다’는 주장 아래 설교 재정 영성 사회활동 등 세부 기준을 담은 ‘목회자 윤리강령’ 통과 여부도 관심사다.
100년간 유지해 온 교단 헌법을 대대적으로 손질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200억원대로 추산되는 제주 탐라대 매입 건은 이사회에 맡겨 처리할 가능성이 높다. 이밖에 납골당 문제와 옛 개혁교단 소속 목회자의 학적취득 문제는 여전히 풀리지 않는 숙제다.
부총회장 후보로 정평수(성남 만남의교회) 황원택(서울 신창교회) 이태선(의정부 승리교회) 안명환(수원 명성교회) 목사가 출마했으며 제비뽑기로 선출한다.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