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주요교단 총회 뭘 다루나… ‘통합’ ‘자정’ ‘교회수호’에 힘 모은다

입력 2012-09-02 17:55


이달부터 시작되는 주요 교단들의 올해 총회는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1912년 한국의 장로교 총회가 처음 설립된 지 꼭 100년이 되는 해이기 때문이다. 한국 장로교의 지난 1세기를 돌아보고 다가올 100년을 준비하는 첫걸음이 되는 올해 총회의 키워드는 ‘통합’과 ‘자정’, ‘교회수호’ 등으로 모아진다. 국민일보 종교국이 2012년 교단 총회의 핵심 의제들을 짚어봤다.

수년 동안 거론돼 오던 장로교단 간 통합 논의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예장합신 및 예장고신 총회는 지난 1년간 함께 활동해온 ‘교단합동추진위원회’ 연구 결과를 이번 총회에서 보고한다. ‘통합전권추진위원회’가 이미 구성돼 있는 예장백석과 예장대신 총회도 교단 통합 문제가 재조명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교단 통합을 선언한 장로교 5개 ‘개혁’ 교단은 통합 총회를 열어 통합과 관련된 세부 사항을 집중 논의할 예정이다.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는 한국교계의 핵심 현안에 대한 입장정리도 명확해질 전망이다.

교회연합기구 문제가 대표적이다. 올 초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에서 한국교회연합(한교연)이 갈라져 나왔기 때문이다. 예장통합과 예장대신, 예장백석 등 장로교단과 기독교한국침례회(기침) 등은 한기총 탈퇴 여부 및 관계 설정, 한교연 가입 여부 등에 대해 결론을 내기로 했다. 내년에 열리는 WCC(세계교회협의회) 부산 총회에 대한 입장도 마찬가지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가입 교단인 예장통합과 기장 등은 WCC 총회에 대한 적극적인 지지 표명과 함께 협력방안을 결의할 예정이지만 나머지 교단들은 어떤 입장을 취할지 주목된다.

올해 총회에서는 주요 교단들의 재정 운용 문제가 도마에 오를 모양새다. 예장통합은 총회연금재단이 안고 있는 수십억원 규모의 부실운용 문제가 ‘핵폭탄급’ 이슈로 떠올랐다. 연금재단에는 현재 1만여명의 목회자가 가입돼 있다. 예장합동은 아이티 구호금 전용 의혹문제와 총회세계선교회(GMS) 기금 문제가 논의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예장대신은 30억원에 달하는 총회 부채의 지불 및 상환을 위한 ‘세례교인 의무부담금’ 제정안을 상정했다. 예장백석은 총회 헌금 및 지원금 축소에 따른 재정문제 해결책을 다루는 등 총회 살림살이에 대한 논의가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올해 교단 총회는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교회를 지키고, 교회 스스로 깨끗해지겠다는 다짐과 각오의 기회도 될 전망이다. ‘종교자유정책연구원(종자연)’ 등 교회 공격 세력에 대한 교단의 대응방안도 논의된다. 예장대신 정치부는 ‘종자연의 반기독교적 활동에 대한 강력한 내용의 성명과 대책을 교단 차원에서 마련해야 한다’는 내용의 헌의안을 제출한 상태다. 불교 단체인 종자연이 정체를 숨긴 채 기독 사학의 자율적 운영을 방해하면서 기독교를 공격하는 데 대한 대처가 필요하다는 게 제안 이유다. 예장합신 등은 대표적인 이단단체인 ‘신천지’ 집단에 대한 주의를 촉구하는 홍보 활동 방안을 다룬다.

이밖에 예장합동은 선거제도와 관련, ‘직선제+제비뽑기’ 제도로 보완하는 내용을 심도있게 논의키로 했다. 기장은 차기 총무선거와 관련해 직선제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며, 예장대신의 총회 윤리위원회 상설화 헌의안도 어떤 결론이 날지 주목된다.

종교부 교단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