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와 만나는 박근혜, 대통합·보수대연합 전략 활용?
입력 2012-09-01 00:26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가 2일 낮 12시 청와대에서 오찬을 겸한 단독회동을 갖는다. 두 사람의 만남은 지난해 12월 12일 이후 8개월여 만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31일 “지난 20일 박 후보가 대통령 후보로 선출됐을 때 대통령이 축하 전화를 하면서 ‘언제 한번 만나자’고 했고, 박 후보가 2~3일 전 면담을 요청해 일정이 잡힌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야당에서도 대선 후보가 결정되고 대통령과의 면담 요청이 있으면 만날 것”이라고 밝혔다. 여당 후보만 만날 경우 대선에서 선거 중립의무 훼손이라는 지적이 제기될 우려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박 후보는 회동 의미에 대해 “후보가 되고 나서 인사차…(만나는 것)”이라며 “(의제는) 끝난 다음에 말씀드리겠다”고 말했다. 박 후보 측 핵심 관계자도 “의례적인 만남”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박 후보 측은 이번 회동에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분위기다. 하지만 현직 대통령과 여당 대선후보가 대선을 불과 100여일 앞두고 만나는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역대 대통령의 경우 임기 말 실정 등으로 탈당 요구에 직면했고, 여당 후보는 차별화를 시도하는 경우가 많았다. 박 후보 주변에서도 이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가 하락하고 있는 상황에서 거리를 둬야 한다는 의견이 심심치 않게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박 후보는 이 대통령을 향해 탈당을 요구하거나 각을 세우는 식의 ‘인위적인 차별화’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이번 회동은 박 후보가 최근 전직 대통령을 방문한 데 이어 현직 대통령과 면담한다는 점에서 국민대통합 행보의 일환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보수대연합을 위한 사전정지 작업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특히 ‘미래권력’인 여당 후보와 ‘현재권력’인 대통령이 어떻게 관계를 설정할지 주목된다. 청와대로서는 임기 말 국정과제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위해 여당의 협력이 절실하고, 박 후보 측도 현 정부가 민생 문제 등에 잘 대처하는 게 대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을 수 있다. 따라서 박 후보는 이 대통령의 국정을 뒷받침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정권 재창출을 위한 협력을 요청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태풍으로 인한 재난 복구와 최근 ‘묻지마 살인’, 아동·여성 성폭력 예방을 위한 치안 확보, 독도문제 등 국정 전반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보인다.
신창호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