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현대차 주간2교대제 생산성 향상 계기되길

입력 2012-08-31 18:28

현대자동차 노사가 내년 3월부터 주간연속2교대제를 실시하기로 30일 잠정 합의했다. 조합원 찬반투표 절차가 남아 있지만 이번 합의를 통해 장시간·심야노동의 상징이던 주야2교대제가 탈바꿈할 수 있는 전기를 맞았다는 점이 주목된다.

주간연속2교대제 도입은 현대차가 기존의 장시간·심야근로 체제에서 벗어나 명실공히 생산성 위주의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전제로서 거론됐었다. 주야2교대제 근무시간은 ‘10+10시간’에 각각 잔업 2시간을 포함하는데 비해 주간연속2교대제는 각각 8시간을 원칙으로 하기 때문이다. 이번 합의안에서는 뒷조만 잔업 1시간을 추가했다.

쟁점이었던 임금보전 및 인원충원 문제는 사측이 기존 임금 수준에 맞추어 월급제를 도입하는 것으로, 노측은 인원충원을 요구하지 않는 대신 근무강도를 높여 생산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도록 하겠다는 것으로 물러섰다. 겉으로는 노사가 윈윈한 것처럼 보이지만 우려되는 점이 적지 않다.

우선 생산성 향상이 동반되지 않는다면 시간당 임금만 상승할 뿐 생산 물량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 지금까지 2개조가 잔업까지 포함해 24시간 동안 생산하던 물량을 17시간에 처리하려면 노측의 ‘근무강도를 높이겠다’는 의지만으로는 어려울 것이다.

당연히 신규 인원충원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문제는 비정규직 근로자 정규직 전환 내지 처우개선 논의와 맞물려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사는 임금보전과 인원충원 회피로 서둘러 합의했다. 사측은 정규직 노조를 다독이고 노측은 현안을 외면함으로써 비정규직 문제는 고스란히 뒤로 남았다.

노사담합이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는 까닭이다. 6800명에 이르는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문제에 대해 사측과 정규직 노조의 적극적인 해결 노력이 동반되지 않는다면 현대차가 45년 만에 장시간·심야근로 체제에서 벗어난다는 의미는 퇴색하고 말 것이다. 이제는 비정규직 문제를 생산성 향상 차원에서 고민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