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신촌 연세로 확 달라진다… 보행자·자전거, 시내버스·구급차 등 긴급차량만 통행

입력 2012-08-30 21:25


젊음의 거리 서울 신촌의 연세로는 왕복 2∼4차로에 시간당 약 1200대의 차량이 몰려 상습 정체를 빚기 일쑤다. 또 시간당 최대 5000여명이 보행하지만 4m인 보도에 노점상과 각종 상가 적치물이 뒤엉켜 실제 유효보도 폭은 2∼3m에 불과해 보행에 불편을 겪고 있다.

이런 연세로에 2014년부터 보행자와 자전거, 시내버스, 구급차 등 긴급차량만 다닐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신촌로터리(신촌 지하철역)에서 연세대 정문까지 550m 구간을 ‘대중교통전용지구’로 지정해 운영할 계획이라고 30일 밝혔다.

시는 대중교통전용지구 10개 후보지 중 자치구 의견, 주민·상인 등 지역여론, 교통환경 등을 고려해 첫 대상지로 신촌지구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신촌지구 주도로인 연세로의 평균 차량 진행 속도가 시속 10㎞ 안팎에 불과하고, 좁은 보도폭과 각종 장애물로 보행 여건이 열악한 점 등이 고려됐다.

대중교통전용지구에는 일반 승용차 운행이 24시간 금지된다. 택시는 대중교통 이용이 불편한 자정에서 오전 6시까지 허용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상가 영업차량은 지역상인들 의견을 수렴해 대중교통 이용이 적은 시간대에 탄력적으로 허용할 방침이다. 시는 보행자 안전을 최우선시해 이 구역을 ‘30존(zone)’으로 설정, 모든 차량이 30㎞ 이하로 통행토록 할 방침이다.

또 2∼4차로인 차로의 폭과 차로 수를 줄여 보도 폭을 최대 8m까지 확보하고 장애인 등 교통 약자가 다니기에도 불편 없는 ‘무장애 공간’(barrier free zone)으로 탈바꿈시킬 계획이다. 또 지하철역과 대학가 주변에 공공자전거 스테이션을 설치해 단거리 통행자에게 이동편의를 제공하기로 했다.

시는 지역상인과 시민단체, 대학교, 대학생 등으로 이뤄진 ‘신촌대중교통전용지구 사업추진위원회’를 구성해 관(官)주도형이 아닌 소통형 사업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9월 초 추진위 1차 회의를 열어 의견을 수렴한 뒤 9월 중 주민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백호 시 교통정책관은 “대중교통전용지구 사업의 첫 시행지역인 만큼 성공적인 ‘롤 모델’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