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영제 도입으로 획기적 서비스 개선 기대했지만… 광주 시내버스 난폭운전 여전하다
입력 2012-08-30 18:58
혈세를 들여 준공영제로 운영 중인 광주지역 시내버스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이 높아 공영성이 무색한 실정이다.
30일 광주시에 따르면 중앙선을 넘어 추월을 일삼거나 과속, 급정거를 하는 등 시내버스들의 난폭운행을 호소하는 승객들의 민원이 올 들어 280여건이나 접수됐다.
광주 시내버스는 2006년 말 준공영제 도입을 계기로 ‘고용불안’ 등이 해소되면서 획기적 서비스 개선이 기대됐다. 하지만 고질적 불친절과 거친 운전습관 등은 여전한 상태다.
승객들은 “시내버스에 올랐다가 간담을 서늘하게 만드는 곡예운전을 지켜봐야 했던 게 한두 번이 아니다”며 광주시청 홈페이지 등에 잇따라 민원을 제기하고 있다.
시민들은 “규정 속도를 지키지 않거나 신호를 수시로 위반하는 것은 물론이고 제 멋대로 차선을 바꾸고 승객이 앉기도 전에 출발하는 경우도 많다”고 주장했다.
해마다 300억원 이상의 세금이 투입되는 데도 광주 시내버스의 급가속, 급출발 등 난폭운행이 줄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반면 버스요금은 지난해 7월 현금기준 성인 1000원에서 1200원으로 20% 올라 서민들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시내버스와 연관된 교통시설에 대한 광주시의 미숙한 관리도 심각하다. 광주시가 최근 승객 편의를 위해 설치된 운행정보시스템을 현장 조사한 결과 325대의 단말기 가운데 12.6%인 41대가 부팅장애 등 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버스도착 시간을 안내하는 이 시스템은 지난해 출근시간 등에 2∼3차례 고장 나 승객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시내버스의 정비 불량도 문제다.
지난해 11월 20여명을 태운 채 유동 화물공제조합 앞 도로를 달리던 51번 시내버스에서 뒷바퀴 2개가 빠지는 아찔한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그러나 광주시의 대책은 종사자들에 대한 관행적 교육과 시내버스 회사에 대한 형식적 경고 수준에 불과하다.
시내버스로 출·퇴근하는 박모(39·매곡동)씨는 “대표적 대중교통 수단인 시내버스가 기본적 안전운행 수칙조차 지키지 않고 승객을 짐짝 취급하는 현실을 납득하기 어렵다”며 “준공영제가 시내버스 회사들의 배만 불려주는 게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