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이전 부처 서울사무소 불허”… 정부 “제2 부처 만드는 격… 어떤 형태든 안돼”

입력 2012-08-29 18:33

정부는 세종시로 청사를 이전한 뒤 어떤 형태의 부처별 서울사무소도 허용하지 않기로 했다.

국무총리실과 행정안전부는 정부부처 일각에서 나오고 있는 서울사무실 운영과 관련, “서울사무소 운영은 정부청사 이전 취지와 맞지 않으므로 어떤 형태의 서울사무실도 두지 않을 방침”이라고 29일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이전 대상 부처 일각에서 업무 효율성을 내세워 서울사무소 운영 필요성을 제기하는데 이는 제2의 부처를 만드는 격”이라며 “인력과 공간이 투입되는 서울사무소 운영은 어떤 명분으로도 설치할 수 없다는 게 정부의 단호한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청와대와 국회가 서울에 있어 이같은 얘기가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그러나 기본적으로 서울에서 해결해야 할 국민 민원이 없으므로 이는 공무원 이기주의에 지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다만 정부는 현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1층 등에 스마트워크센터를 열어 국회, 청와대 등과의 행정업무 필요 공간으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세종청사의 경우도 이 센터가 들어선다.

따라서 각 부처의 서울사무소 요구는 전자정부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워크센터로 흡수한 셈이 됐다.

정부청사관리소는 이미 스마트워크센터 설치 발주를 마쳤고, 현 10층 총리실 공간 등을 활용한 원격화상회의시스템 설치를 강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국무회의나 차관회의 등은 청와대 국무회의실과 현 정부중앙청사 국무회의실을 통해 직접 또는 원격화상회의로 이뤄지게 된다.

이에 대해 행정안전부는 “스마트워크센터는 이미 서울 도곡·잠실·구로, 경기도 일산·분당 등 9곳에 각 20석 규모로 운영되고 있는데 이 시스템을 확대 적용한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또 장·차관이 국회회기 중 대기하거나 업무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공간을 스마트워크센터 안에 만들어 국정업무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기로 했다. 이 역시 각 부처 장·차관실을 독립적으로 두는 게 아니라 공동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전정희 선임기자 jhje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