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대부업 이용 뚝… 대출 잔액 53% 감소
입력 2012-08-27 19:27
대학생의 대부업 이용이 1년 사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대부업체에 돈을 빌리는 가장 큰 이유는 학자금으로 조사됐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6월 말 대부업체의 대학생 대출 잔액이 341억6000만원으로 지난해 6월 720억6000만원보다 52.6%(379억원) 줄었다고 27일 밝혔다. 같은 기간 대출 건수는 3만3518건에서 1만6798건으로 49.9%(1만6720건) 감소했다.
2008년부터 꾸준히 늘던 대부업체의 대학생 대출 규모는 지난해 하반기 감소세로 바뀐 뒤 대폭 축소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해 7월부터 대부업계에 대학생 대출 취급을 자제해 달라고 지속적으로 지도한 결과”라며 “대부업체가 대학생 대출 취급 중단을 자율 결의한 영향이 크다”고 말했다.
대학생이 대부업체 돈을 빌리면서 밝힌 용도는 학자금이 50.3%로 생활비 및 기타 비중(49.7%)을 처음으로 넘어섰다. 학자금 비중은 2009년 말 37.3%, 지난해 6월 49.8% 등으로 증가세다.
한편 참여연대와 금융소비자협회 등이 참여한 시민단체 서민금융보호 전국네트워크는 이날 서울 여의도 금감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부업법 전면 개정과 불법 대부업자 처벌을 촉구했다.
불법 대부업 피해자인 강모(58·여)씨는 “2007년 식당 영업이 어려울 때 저축은행 대출을 중개해주겠다며 접근한 사채업자들에 속아 가정이 파탄 났다”며 “도움을 청하려고 금감원에 여러 번 왔지만 ‘왜 비싼 이자인 줄 알면서 썼느냐’고 구박만 하고 귀 기울려주는 사람이 없었다”고 말했다.
이선근 공동대표는 “‘급하면 고리대금이나 대부업 자금이라도 쓰라’는 식의 서민금융 정책기조는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