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대선 경선 갈등] 미투표 처리 599명 뿐… 머쓱해진 손학규·김두관 “복귀”

입력 2012-08-28 00:54

민주통합당이 27일 경선 파행 원인인 제주 모바일 투표의 로그파일(통화기록)을 검토한 결과 미투표 처리된 선거인은 599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투표가 대거 미투표 처리돼 경선이 불공정하다고 주장했던 손학규 상임고문과 김두관 전 경남지사는 경선 중단 선언 하루 만에 복귀했다. 경선 파국 위기는 넘겼지만 손 고문이 ‘이-문’(이해찬-문재인)을 패권세력으로 규정하면서 이-문 담합론 논란은 쉽게 사그라들지 않을 전망이다.

◇‘해프닝’으로 끝난 경선 논란, 무안해진 손·김=당 선관위는 “모바일 투표 미투표 처리 선거인단(본인인증 후에도 ‘투표 실패’가 된 경우)에 대해 집중 검표한 결과 통계적 오류에서 벗어나지 않았음을 확인했다”며 “후보 측 대리인들과 중단된 경선을 정상화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제주 경선 모바일 투표 선거인단 3만2984명 중 미투표 처리된 투표자는 599명이었다. 이들은 본인인증 절차(주민번호 뒷자리 입력)를 거친 뒤 투표를 정상적으로 마치지 않고 통화를 종료한 선거인이다. 당 선거 규정은 특정 후보 번호를 누른 뒤라도 확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전화를 끊으면 미투표로 처리토록 돼 있었다.

손 고문과 김 전 지사 측은 이 때문에 기호 2번, 3번인 손 고문과 김 전 지사를 찍고 확인절차 없이 통화 종료한 표가 대거 미투표 처리돼 전체 투표율이 55.3%에 그쳤다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이렇게 기권 처리된 선거인이 소수에 불과하다는 게 밝혀진 것이다. 결국 두 사람은 낮은 투표율의 원인을 잘못 진단하고 ‘경선중단’이라는 무리한 행동을 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일각에서 ‘비문’(非文·비문재인)의 몽니라는 말도 나온다. 문재인 상임고문은 “마치 불공정함이 있었던 것처럼 비친 데 대해 강력하게 항의한다”는 성명을 냈다.

당 선관위는 제주에서 미투표 처리된 599명에게 재투표 기회를 주기로 했다. 하지만 이들이 특정 후보에게 몰표를 주더라도 경선 결과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1위인 문 고문과 다른 주자들의 표 차가 워낙 크기 때문이다.

◇손 고문, 패권세력 볼모 남겨두지 않겠다=김 전 지사는 기자회견을 열어 “불공정 상황이 되더라도 경선에 끝까지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손 고문도 김유정 대변인을 통해 “정권교체를 위해 경선에 복귀하겠다”고 전했다. 다만 제주 모바일 투표와 관련해 선거인단 등록부터 개표까지 전체 프로그램과 데이터 파일에 대한 조사를 요구했다.

당 선관위는 향후 모바일 투표에서 논란 소지를 없애기 위해 투표 후 확인 절차 없이 전화를 끊어도 미투표로 처리하지 않고 유효표로 집계키로 했다. 주자들의 경선 복귀에 따라 강원 경선은 예정대로 28일 치러진다.

하지만 손 고문은 이날 경선 복귀 후 트위터에 “민주당을 더 이상 특정 계파와 조직된 소수에 좌우되는 정당, 패권세력의 볼모로 남겨두지 않겠다”며 사실상 이-문 담합론을 겨냥했다. 그는 “민주당 경선은 시작부터 정당성을 부여할 수 없는 경선이 됐고 그 모든 책임은 당과 선관위에 있다”며 “역전 드라마는 이제부터 시작”이라고도 했다.

손 고문 측은 또 “문 고문 경선캠프가 내부 관계자들에게 발송한 이메일에 이해찬 대표와 김태년 대표비서실장, 정청래 당 선관위 부위원장도 수신자로 돼 있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하지만 문 고문 측과 당 지도부는 의혹을 부인했다. 문 고문 측은 “우리 캠프 자원봉사자가 보낸 메일은 맞지만 이 대표 등의 이메일 주소가 아니다”며 “의혹을 제기하려면 사실 확인부터 하라”고 맞받았다.

임성수 김아진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