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방문 직전에도… MB, 日에 위안부 해결 제안했었다
입력 2012-08-24 18:55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달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현실적 해결 방안을 일본 정부에 제시하며 한·일 과거사 갈등을 풀려고 시도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비공개 외교 채널을 통해 전달된 이 방안을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는 전면 거부했고 이 대통령은 ‘과거사 해결 없이는 관계 정상화도 없다’는 강경대응으로 방침을 바꿔 지난 10일 독도를 전격 방문했다. 이처럼 막후의 외교적 노력이 좌절되면서 한·일 관계는 최악의 ‘강(强) 대 강’ 대결국면으로 치닫게 된 것이다.
24일 청와대와 외교통상부 등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제헌절인 지난달 17일 비밀리에 신각수 주일대사를 청와대로 불러 “일본에 의향을 타진해 보라”며 위안부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천영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신 대사와의 ‘3인 회동’에서 “지난해 12월 교토 한·일 정상회담 이후 일본 측이 (과거사) 해결 의지를 보이지 않는다”며 “우리가 먼저 방안을 내놓고 일본이 받아들이는지 보자”고 말했다. 이 대통령의 ‘방안’은 신 대사를 통해 비공개로 일본 정부에 전달됐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일본 정부가 우리 제안을 거부하자 이 대통령은 ‘이렇게까지 성의를 보여도 일본은 여전히 무대응이다. 더 이상 가만히 있을 수만은 없다’며 강경대응 결심을 굳힌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따라서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 처음인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은 우리 정부의 과거사 해결 노력을 거부한 일본 정부에 보내는 강력한 경고였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과거의 큰 잘못을 무조건 외면하는 태도로는 일본이 한·일 관계를 떠나 중·일, 미·일 관계에서도 결코 도덕적 현실적 정당성을 얻을 수 없다”며 “정부는 과거사 문제에 관한 한 어떠한 타협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른 청와대 핵심 참모는 “일본은 독도 영유권 주장으로 과거사를 가리고 계속 도발해올 것”이라며 “당분간 외교적 대화채널은 물론 비공식 물밑접촉도 가능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했다.
신창호 이성규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