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김해시 재정, 경전철에 발목 잡혔다

입력 2012-08-23 21:46

부산·김해시가 부산·김해경전철의 빗나간 수요예측과 무리한 사업추진으로 거액의 최소운영수익보장(MRG) 부담금을 물어야 할 처지여서 재정운영에 빨간불이 켜졌다.

경전철 운영사인 부산·김해경전철㈜(BGL)은 지난해 9월 17일 개통 이후 지난해 연말까지 MRG 147억원을 지급해 달라는 요청서를 김해시와 부산시에 제출했다고 23일 밝혔다.

요구액은 김해시 93억8500만원, 부산시 53억1700만원으로 내년 3월말까지 이를 지급해야 한다.

인구 50만명에 불과한 김해시가 규모가 큰 부산시보다 많은 금액을 보장해야 하는 것은 6대 4로 책정된 분담비율에 따른 것이다. 더구나 이 금액은 106일치로 부산·김해경전철 수요가 증가하지 않을 경우 부담금은 내년에 3.8배 이상 늘게 된다.

협약 체결 당시 승객 예측치는 지난해의 경우 하루 17만6358명이었으나 실제 탑승객은 고작 3만여명에 그쳤다. 올해는 하루 18만7266명, 내년엔 하루 19만8848명으로 예측됐었다. 따라서 획기적인 개선이 없이는 MRG부담금도 그 만큼 증가할 수밖에 없다.

두 도시는 분기별로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 무임·환승 할인비 9억8000만원도 추가로 보전해줘야 한다. 이 같은 MRG기준에 따라 내년에 두 도시가 부담해야 할 비용은 김해 354억원(환승비 18억원 별도), 부산 200억원(환승비 22억원 별도)에 이른다.

부산김해경전철 MRG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기관들이 민관협의체를 구성했지만 부산시와 김해시의 이해 차이, 지자체와 시민단체 간 이견 등으로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부산·김해경전철 시민대책위원회는 “이 사업이 어떻게 시작되었고 용역결과는 어떻게 나왔으며 수요예측은 어떤 기준으로 했는지 밝혀야 한다”며 “부담을 시민들에게 떠넘긴 데 대한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도 규명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해시 대중교통과 관계자는 “중앙정부에 국비보조를 요구하겠다. 국회에서 발의된 도시철도법이 통과되면 사정이 나아질 것으로 본다”며 “자체적으로는 사업재구조화를 통해 MRG부담금을 좀 더 낮출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