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 정수과정서 발암성물질로 전환 우려”

입력 2012-08-22 23:50

한강과 낙동강의 녹조가 잦아들었지만 대규모 녹조가 언제든 재발할 수 있으며 이때 수돗물의 정수과정에서 안전성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최승일 고려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22일 “조류 번성 원인 분석보다 당장 급한 것은 녹조로 뒤덮인 강으로부터 취수해 정수한 수돗물의 안전성”이라며 “마이크로시스틴과 같은 조류독소보다 정수과정 중 발암성 물질인 소독부산물이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고농도의 조류가 유입되면 정수장에서는 염소전처리로 조류를 죽인 후 응집·침전과정을 거쳐 이를 제거하게 된다”며 “염소에 의해 파괴된 조류의 세포에서 나오는 유기물질들이 염소소독 과정에서 발암성 물질로 전환된다”고 설명했다.

최 교수는 전날 민주통합당 ‘4대강조사특별위원회’가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한 ‘4대강 녹조, 수돗물 안전한가’ 토론회에서 “현재 수돗물은 안전하지만 잎으로 정수 중에 소독 부산물 농도가 잘 통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 토론회에서 김좌관 부산가톨릭대학 환경공학과 교수는 “수온이 어찌되었건 햇빛이 충분하거나 부족하거나 상관없이 물의 흐름이 멈추면 녹조는 생기게 돼 있다”며 “가장 간편하고 효과적인 대안은 일단 4대강 16개보의 수문을 열어놓는 일”이라고 제안했다.

장하나 민주통합당 의원은 낙동강에 녹조가 번성했을 때 희석작용을 위해 댐의 물을 비상방류할 수 있었는데도 정부가 이를 이행하지 않은 데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장 의원은 “정부가 농업용수 확보를 핑계로 대고 있지만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당시는 가뭄 상태가 아니었다”며 “가동보 수문 개방과 비상방류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은 합천보 등 보 구조물의 안전성에 심각한 문제가 있기 때문이라는 의혹이 짙다”고 주장했다.

임항 환경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