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한·미합작투자사업 부실·국제사기 의혹 수사
입력 2012-08-22 18:35
검찰이 부실투자와 국제사기 논란에 휩싸인 광주시의 한·미 합작투자사업에 대해 수사에 착수했다.
광주지검 특수부(부장검사 김석우)는 지난해 1월부터 5차례에 걸쳐 3D컨버팅(입체영상 변환) 한·미합작사업에 650만 달러(72억여원)를 투자한 광주문화컨텐츠투자법인(GCIC) 김병술 대표 등 핵심 관련자 3∼4명을 출국금지했다고 22일 밝혔다.
GCIC는 광주시 산하기관인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이 100% 출자한 해당 사업의 투자 주체이다.
검찰은 합작사업을 서둘러 추진한 구체적 배경과 완제품 납품을 조건으로 자금 인출을 허용하는 에스크로(조건부 인출가능) 계좌를 통해 미국 K2사와 거래하지 않은 경위 등을 조사하기로 했다. 검찰은 이를 위해 지난 5월 합작사업의 국제사기 의혹을 제기한 감사원의 감사서류 등을 넘겨받아 최근 2개월 동안 정밀 분석해왔다.
감사원은 당시 GCIC 등이 합작사업 과정에서 원천기술이 부족한 K2에 대한 기술력 검증 없이 거액을 송금해 손실을 입게 됐다며 관련 법인대표를 배임혐의로 고발하고 손해배상을 청구하라고 광주시에 통보했다.
미국 업체에 대해서도 부당이득반환청구 소송과 함께 사기 혐의 등에 대한 법적 대응 방안을 검토하라고 밝혔다.
검찰은 이르면 23일 김 대표를 소환해 한·미 합작사업 투자결정 과정, 송금절차의 적법성 등 사업 전반에 대해 조사할 예정이다. 김 대표는 28일부터 미국 LA현지에서 진행하기로 예정된 기술력 검증절차에 참여하기 위해 21일 출국하려다가 인천공항에서 출국금지된 사실을 알고 광주로 돌아왔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