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선행보 본격화] MB와 대립각 세우기 보다 정책으로 자연스런 차별화

입력 2012-08-22 18:42

<하> 미래권력 박근혜-현재권력 MB와 관계 설정은 어떻게

역대 대선 때마다 ‘미래권력’인 여당 후보와 ‘현재권력’인 대통령의 관계설정은 중요한 이슈였다. ‘대통령이 특정후보를 당선시킬 수는 없어도 안 되게 할 수는 있다’는 정치권 속설처럼 대통령의 지원을 못 받는 여당 후보가 대선고지를 넘기는 쉽지 않다. 이명박 대통령과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도 지난 5년간 치열하게 싸웠고, 필요에 따라 잠시 손을 잡는 관계를 유지해 왔다. 이들의 남은 여정은 어떻게 기록될까.

◇朴, 인위적 차별화는 없다=이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가 하락하면서 박 후보 주변에서는 차별화 행보를 권유하는 목소리가 잇따랐다. 지난해 10·26 서울시장 보궐 선거 때도, 4·11 총선을 앞두고도 그랬다. 하지만 박 후보는 이 대통령을 향해 직접 비판하거나 각을 세우는 식의 ‘인위적인 차별화’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고 한다. 야권에서 MB정부의 최대 실정으로 꼽는 4대강 사업에 대한 입장을 밝히라고 압박할 때도 박 후보는 피했다.

박 후보가 이 대통령을 향해 직접 비판을 시작한 것은 경선이 시작된 이후였다. 각종 토론회에서 다른 후보 질문에 “현 정부의 최대 실책은 인사문제”라고 답하거나, “현 정부에 대한 국민의 불만은 소통이 안 됐다는 것”이라고 언급한 정도다.

◇정책 기조 둘러싼 신경전=대신 박 후보는 정책으로 차이를 드러내는 방식을 택했다. 2010년 사회보장기본법을 통한 맞춤형 복지 구상이나 2012년 경제민주화 기치를 내건 것은 성장위주의 MB정부와는 분명히 다른 대목이다. 박 후보 측은 일부러 현 정권의 정책 기조를 거부한 게 아니라 경제 상황 등 대내외적인 여건이 달라진 데 따른 자연스러운 변화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청와대는 박 후보가 현 정권 정책을 연속적으로 끌고 갈 의지가 없는 것 같다며 내심 불쾌해하고 있다. 청와대 내에는 박근혜식 복지정책은 포퓰리즘에 가까운 것 아니냐는 시선도 있다. 따라서 양측의 신경전이 앞으로 표면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관계 개선은 어떻게=박 후보 측에선 이 대통령이 적극적인 관계개선에 나서지 않는 것을 불만스러워하는 분위기가 읽힌다. 대선자금이나 친·인척 비리 등 정권의 근간을 흔들 수 있는 사건이 터질 것에 대비해 미래권력에 ‘보험’을 드는 차원에서라도 이 대통령이 박 후보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친박계 핵심 의원은 22일 “원칙과 신뢰를 앞세우는 박 후보가 그런 식의 뒷거래를 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말했다. 여의도 정치에 무심한 이 대통령의 스타일 역시 이런 관측을 뒷받침한다. 이 대통령이 1987년 이후 대선이 있는 해면 어김없이 현직 대통령이 탈당한 전례를 피할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현재로선 두 사람이 만나 관계 개선을 모색할 가능성도 별로 크지 않아 보인다. 다른 친박계 의원은 “선대위 구성 때 박 후보가 어떤 사람을 쓰느냐를 통해 향후 관계를 짐작할 수 있을 것”이라며 “친이명박계 이재오 의원 등의 중용 여부가 중요한 포인트”라고 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