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고 반납의사 철회했지만… 광주 보문고 무더기 전학사태
입력 2012-08-20 19:13
광주 보문고가 자율형사립고(자사고) 반납의사를 철회했으나 학부형들의 무더기 전학신청 등 후폭풍을 겪고 있다.
보문고와 광주시교육청은 20일 “보문고 1학년에 재학 중인 221명 가운데 50여명이 시교육청 민원실에 전학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학생들이 전학을 가려면 시교육청 자체 규정상 6개월 1학기 이상을 해당 학교에 재학해야 된다. 시교육청은 이에 따라 학생들의 전학제한 요건이 풀리는 20∼21일 이틀간 전학신청서를 받고 있다. 시교육청은 전학신청서 접수를 마친 뒤 22일 주거지에서 가까운 고교로 학생들을 배정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시교육청이 이 학교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전학의사를 파악한 결과 1학년 60여명이 전학을 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학입시를 코앞에 둔 2·3학년 학부형들은 전학신청을 1명도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보문고는 2010년 자사고로 전환한 뒤 2년 연속 정원 미달인 데다 최근까지 학생 43명이 다른 학교로 전학, 학생 9명이 자퇴했다. 불안정한 교육여건으로 대학진학 등에 불이익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학교는 자사고 반납 논란으로 촉발된 대규모 전학이 추가로 이뤄질 경우 최소 2개 학급의 감축이 불가피해 정상적인 운영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보문고는 자사고 지정 당시 시교육청이 약속한 과원교사의 공립학교 특채 등이 아직까지 지켜지지 않아 운영난이 가중되고 있다며 지난 3일 자사고 지정 취소를 요청했다. 이에 시교육청은 올해 안에 과원교사를 최대 9명까지 공립학교에서 특채하고 건물 개·보수와 책·걸상, 사물함 교체 비용 등을 지원하겠다는 ‘합의서’에 동의했다.
보문고 측은 이를 근거로 최근 자사고 반납 신청을 철회했다. 그러나 대규모 전학사태가 발생할 경우 학교 존립 자체가 위기를 맞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자사고 유지에 어렵게 합의한 만큼 학교 측과 협의해 학생들의 학습권 보장과 학부모들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