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TI 완화에도 부동산 시장 ‘꽁꽁’
입력 2012-08-20 18:50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 등 정부가 주택거래 활성화를 위해 각종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부동산 시장은 좀체 회복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지난달 주택 매매거래량이 총 5만6799건으로 지난 6월(5만6922건)에 비해 0.2% 감소했다고 20일 밝혔다. 지난해 7월에 비해서는 22.1% 급감한 것으로 올 들어 전년 동월 대비 거래량 감소세가 계속되고 있다. 서울의 거래량은 5877건으로 전월에 비해 11%, 작년 동월에 비해 25.8% 각각 줄었다.
유로존 재정위기와 국내 가계부채 악화 문제가 동시에 터지면서 지난달 서울 아파트값이 최근 2년 새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7월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보다 서울 0.42%, 신도시 0.18%, 수도권 0.09% 각각 떨어졌다. 서울의 경우 2010년 7월 0.43% 떨어진 이후 최대 낙폭이다. 구별로는 강동구(-0.93%), 중구(-0.69%), 송파구(-0.68%), 강남구(-0.67%), 마포구(-0.55%), 서초구(-0.49%), 양천구(-0.47%) 등의 순으로 내림폭이 컸다.
특히 고덕주공 등 시공사 선정이 무산되거나 소송에 발목이 잡혀 재건축 사업이 지연된 대규모 아파트 단지들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강동구 고덕주공과 둔촌주공이 1000만∼4000만원, 송파구 올림픽훼밀리타운이 1000만∼3500만원, 양천구 목동신시가지 단지가 1000만∼3000만원 각각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송파구 잠실파크리오 대형 면적에서는 최대 1억원까지 하향 조정된 사례도 나왔다.
국토부가 공개한 지난달 실거래가에서도 강남권 재건축 단지가 약세를 주도했다.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면적 76.79㎡는 지난 6월 8억2700만∼8억5000만원에 팔렸으나 지난달에는 8억원으로 떨어졌다.
반면 아파트 가격 하락 영향으로 전세 수요가 늘면서 최근 2년간 수도권의 1억원 미만 전세 아파트 수는 2010년 8월 92만485가구에서 현재 53만7901가구로 42% 줄었다.
부동산 침체가 계속되자 정부와 여당은 대책의 강도를 높이고 나섰다. 새누리당 ‘하우스푸어 대책팀’은 이날 양도소득세 중과의 한시적 감면·폐지, 취득세 인하 등을 골자로 한 부동산 활성화 종합대책을 정부에 제시했다.
또 금융 지원 조치로 담보인정비율(LTV) 60% 초과 대출에 대한 금융권 상환요구 자제,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금 재원 확대, 제2금융권에서 제1금융권으로 대출 구조 전환, 금융권 공동출자 배드뱅크 설치 등 이자탕감 방안, 개인별 채무조정 프로그램 도입 등을 제시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