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건설 매각 또 불발… 공자위, 이랜드 우선협상자 지위 연장 안해
입력 2012-08-21 00:15
쌍용건설 매각이 또다시 무산됐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20일 오후 매각소위원회와 본회의를 잇따라 열어 자산관리공사(캠코)와 이랜드의 쌍용건설 지분매매 계약을 심의한 결과 이랜드의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연장하지 않았다.
공자위가 이 같은 결정을 내린 것은 쌍용건설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발채무에 대한 보증 문제를 놓고 캠코와 이랜드의 의견 차가 컸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 관계자는 “헐값 매각 비판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캠코가 쌍용건설의 우발채무를 문제 삼아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손실에 대한 보증을 더 해주고 가격을 깎아 달라는 이랜드의 요구를 받아들이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랜드의 홍콩 증시 상장 등을 통한 인수자금 마련 계획이 순조롭지 않았던 점도 계약이 무산된 원인 중 하나라는 분석도 있다.
이랜드는 지난달 12일 예비입찰과 30일 최종입찰에 유일하게 참여했다. 공자위는 지난 2일 이랜드를 쌍용건설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정했다. 이후 캠코와 이랜드는 쌍용건설 지분을 900억원에, 제삼자배정 방식의 신주를 1500억원에 사고파는 조건으로 협상을 벌였으나 난항을 거듭했다.
캠코는 2007년 이후 쌍용건설 매각을 5차례 시도했으나 모두 실패로 돌아가게 됐다. 올해 1000억원 넘게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를 갚아야 하는 쌍용건설은 유동성 문제를 풀어야 할 처지에 놓였다. 일각에선 캠코의 쌍용건설 매각 추진을 비판하는 시각도 있다. 오는 11월 22일인 부실채권정리기금 운용 시한에 맞추느라 헐값으로 팔려는 의혹이 짙다는 이유에서다.
업계 관계자는 “11월 22일을 넘기면 캠코는 쌍용건설 지분을 정부에 현물로 반납한다”며 “이후 매각을 재추진하는 건 당분간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이랜드는 보도자료를 통해 “건설사업 역량을 확보하고자 하는 경영진의 의지가 강해 건설사 M&A(인수합병)에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일 것”이라며 향후 건설사 인수 시도를 계속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한장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