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 영토문제 충돌] 日, 韓·美·中 대사 모두 교체
입력 2012-08-20 19:04
일본 정부가 9월로 예고한 정기인사에서 주요국 대사들을 일제히 교체한다.
요미우리신문을 비롯한 일본 언론들은 20일 일본 외무성이 이례적으로 한국과 미국, 중국 등 주요 국가의 대사를 바꾸기로 결정했다면서 일본이 외교채널 재정립을 통해 외교문제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음 달 8일 국회 폐회 후 내각회의에서 정식 발령 날 예정인 가운데 주요 3개국 대사와 외무성 간부가 포함된 이번 인사 조치에 주변국과의 갈등으로 자칫 외교적 고립을 초래할 수도 있는 일본의 고민이 여실히 반영됐다는 평가다.
신임 주한 일본대사에 내정된 벳쇼 고로(別所浩郞·59) 정무 담당 외무심의관은 차기 외무차관과 주중대사 물망에도 올랐던 비중 있는 인사다. 일본 언론들은 “부국장급인 무토 마사토시(武藤正敏·63) 주한대사 후임으로 차관급 인사를 기용한 것은 냉각된 한·일 관계를 개선하려는 의도”라고 인사 배경을 설명했다.
이와 함께 친(親)중국 행보로 일본 보수 정치권의 집중타를 맞은 니와 우이치로(丹羽宇一郞·73) 주중 일본대사 후임에는 니시미야 신이치(西宮伸一·60) 경제 담당 외무심의관이 낙점됐고, 후지사키 이치로(藤崎一郞·65) 주미 일본대사 후임으로는 사사에 겐이치로(佐佐江賢一郞·60) 사무차관이 결정됐다.
주중 대사는 9월 29일 중·일 국교정상화 40주년 행사 이후인 10월에 교체될 것으로 알려졌고, 11년 만에 외무성 차관 경험자가 주미 대사로 기용된 것은 아시아·대양주 국장을 역임한 사사에 사무차관이 후텐마(普天間) 기지 이전이나 오스프리 배치 등 미·일 간 현안에 정통하다는 점을 중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이번 대사 교체를 외교 재정립 차원으로 보는 일본 언론들의 분석과는 달리 한국과 일본의 외교 갈등이 길어지면서 주한 일본대사의 공석 사태는 장기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지난 10일 일본으로 소환된 무토 대사가 열흘째 복귀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외교가에서는 일본 정부가 신임 대사의 부임까지 상당기간 대사 공백상태를 만들어 간접적인 항의의 뜻을 표시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구성찬 기자 ichthu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