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영토 전쟁’] 美도 ‘센카쿠 갈등’ 가세

입력 2012-08-19 21:03

독도 문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중한 분위기였던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 문제도 다시 불붙고 있다.

일본은 21일부터 미국과 도서방위 합동훈련을 벌인다. 일본 섬들이 공격당하는 상황에 대비한 합동훈련은 일본 남부 지역의 육상자위대와 오키나와 주둔 미 해병대가 참여해 태평양의 미국령 괌과 테니언섬 등에서 이뤄진다. 미 국무부 빅토리아 눌런드 대변인도 16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센카쿠 열도가 미·일 상호안보조약에 따른 미군의 방어 지역에 포함된다는 점을 재확인했다. 중국이 센카쿠를 군사적으로 공격할 경우 미군이 출동한다는 의미다. 센카쿠를 둘러싼 중국과 일본 간 갈등에 미국이 가세하는 셈으로 중국의 반응이 주목된다.

일본 정부는 미군의 최신예 무인정찰기 글로벌호크를 도입하는 방안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마이니치신문이 18일 보도했다. 마이니치는 “글로벌호크 3기와 정보분석장치 1기를 수백억엔을 들여 도입, 미군과 공동 운용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며 “해양 활동을 활발하게 벌이는 중국에 대한 경계 감시를 강화하려는 목적”이라고 전했다.

일본 정치권도 들끓는다. ‘일본 영토를 지키기 위해 행동하는 의원연맹’ 소속 의원 8명과 지방의원 등 150여명이 19일 아침 21척의 배에 나눠 타고 센카쿠 해역에 들어갔다. 명목은 2차대전 당시 이 지역 선박 침몰로 숨진 이들을 위한 해상 위령제였지만 사실은 지난 15일 홍콩 시위대의 센카쿠 상륙에 대항하는 차원이다. 이 중 10여명이 센카쿠에 상륙했다.

일본 정부는 실효 지배하는 센카쿠 문제를 조용히 처리하려는 움직임이었으나 ‘외교 저자세’를 비난하는 야당 의원들의 항의가 잇따르자 17일에는 노다 요시히코 총리가 “영토 문제는 국가 주권에 관한 것이므로 불퇴전의 결의로 온몸을 다해 임하겠다”고 야당에 밝혔다. 노다 총리는 중의원 회기가 끝나는 다음달 8일 사퇴한다는 계획이지만 자민당 등은 회기 내에 내각 불신임 결의안을 제출키로 해 영토 문제 때문에 정권의 조기 붕괴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다. 일본의 센카쿠 국영화에 반대 목소리를 냈던 니와 우이치로 주중 일본 대사도 다음달 말 교체된다고 지지통신이 19일 보도했다.

중국에서는 반일 시위가 19일 광저우 상하이 등 중국 전역 10여곳에서 열렸다. 광둥성 선전시에서 열린 집회에는 4000여명이 참여해 일본 차량과 일장기를 불태우고 인근 일본 음식점의 유리창을 부수는 일까지 벌어졌다.

중국 외교부는 19일 주중 일본 대사를 불러 일본인의 센카쿠 상륙에 항의하고 중국의 영토 주권을 손상하는 행위를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고 밝혔다.

김지방 기자 fatty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