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올레길 관광객 살해사건 한 달… 지자체들 ‘도보 여행길 안전’ 골몰

입력 2012-08-19 21:51

걷기여행길의 안전에 경종을 울렸던 제주 올레길 관광객 살해사건이 20일로 한 달을 맞는다. 이 사건은 전국에 우후죽순처럼 조성되고 있는 도보 여행길에 큰 파장과 변화를 가져왔다. 자치단체와 경찰 등은 안전대책을 마련하는 데 골몰하고 있고 도보 여행객들도 스스로를 지키느라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자체들, 안전대책 마련에 부심=사건 이후 제주도뿐 아니라 전국의 지자체와 관계기관이 도보여행길의 안전대책을 수립하느라 바삐 움직였다.

전북지역 자치단체들은 경찰·군부대·산악대원들과 함께 29개 마실길이나 둘레길 800여㎞에 대한 정기 순찰을 강화하고 나섰다. 바다와 접한 부안군은 인근 군부대와 협력해 순찰하기로 했고 산간부인 남원시와 무주군은 산악자전거 동호회 등과 함께 안전사고 예방에 힘쓰기로 했다.

부산시는 16개 구·군과 함께 갈맷길(부산 산책길)의 사각지대에 CCTV를 추가 설치하기로 했다. 또 기존 2241개의 이정표에 코스와 구간별로 위치를 표시하고 GPS상 위치 정보를 경찰과 소방본부에 제공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경찰·시민단체·주민이 참여하는 ‘안전 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했다. 취약 지역 18곳과 주요 길목에 안내판과 현수막을 설치하고 자전거 순찰대를 운영키로 했다. 강원도는 산소길과 둘레길에 범죄예방용 CCTV와 가로등, 안내판을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다.

◇CCTV 설치 싸고 ‘갑론을박’=하지만 도보여행길에 CCTV를 설치하는 방안을 놓고는 논쟁이 한창이다.

행정안전부는 지난달 31일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입법예고해 탐방로, 산책로 등에 주민들의 의견수렴을 거쳐 CCTV를 설치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반대 여론도 만만찮다. 제주올레 홈페이지나 SNS 등에는 CCTV를 설치하면 ‘명상과 치유’라는 걷기 여행의 목적이 훼손된다는 의견이 계속 올라오고 있다. CCTV의 효용성에 대한 의문과 함께 환경파괴와 지자체 재정 부담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제주도와 제주지방경찰청, ㈔제주올레 등은 최근 대책회의를 열고 CCTV를 해안도로나 대도로 교차로에만 설치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 대신 오름 중간 샛길이나 농로, 숲길 등 인적이 드문 곳은 주기적으로 순찰하고 올레길 이정표를 확대 설치키로 했다.

한편 잠정폐쇄된 제주 올레 1코스 주변은 방문객이 주춤했으나, 다른 코스에서는 여름철 성수기를 맞아 방문객 추이에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주=김용권 기자·전국종합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