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재단’ 왜 안 바꾸나… 재단 명칭 유지해 대선 출마 때 ‘철수 효과’ 노린다

입력 2012-08-16 21:43

안철수재단이 16일 재단 명칭은 유지하되 법적 테두리 안에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것은 재단의 핵심 사업들을 대선(12월 19일) 이후로 늦추겠다는 의미다. 특히 공직선거법 위반 여부와 직결되는 사안인 ‘기부활동’은 보류하겠다는 방침이다.

박영숙 재단 이사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기부행위가 유권자들의 투표에 영향을 미치는 위법행위라고 하니 하지 않을 것”이라며 “(대선 전까지) 준비작업을 해서 본격적인 기부활동은 나중에 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고 말했다. 박 이사장은 “다만 기부 준비를 하면서 전문가 자문도 받고, 기부 플랫폼 구축 등을 하게 될 텐데 이에 들어가는 현금 지출은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법적 테두리 내 사업과 관련해서는 “공직선거법상 천재지변 시 구호기관에 금품을 제공하는 행위는 선거법 위반에 해당되지 않는다”며 “예를 들어 구호자금이 필요한 지역이나 단체가 생기면 선관위에 성금 기탁이 가능한지 문의한 뒤 기부할 수도 있다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과 무관하게 재단 운영 방침이 결정됐다는 말도 덧붙였다.

정치권에서는 “이처럼 재단이 선관위 해석을 적극 수용한 것은 안 원장이 대선 행보에 나설 가능성을 더욱 높여준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안철수’라는 이름이 들어간 재단 명칭을 포기하지 않은 것 역시 같은 맥락이라는 분석이다. 안 원장이 대선에 출마할 경우 재단을 통한 ‘후광’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여론조사 기관 리얼미터가 안철수재단 위법 문제가 불거진 지난 13일부터 이틀간 전국 유권자 1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여론조사(신뢰도 95%, 오차범위 ±2.5%)에서 안 원장(48.2%)이 새누리당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44.5%)을 3.7% 포인트 앞섰다. 9∼10일 조사에서는 안 원장(46.0%)이 박 전 위원장(49.8%)에게 3.8% 포인트 뒤졌었다.

안 원장은 이날 전주 국제탄소연구소와 한국폴리텍대 신기술연수센터를 방문해 연구원 및 학생들과 지역현안과 취업문제 등 다양한 의견을 청취했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